본문 바로가기

생각비행(전체)1370

메르스 정국에 묻혀서는 안 될 전교조 법외노조화 사태 지난 7일 참여연대와 은수미 국회의원실이 공동으로 진행하여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의하면, 정부의 메르스 확산에 대한 대응 실패로 민심이 바닥을 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전국 19세 이상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70퍼센트가 정부 대책을 불신했고, 88퍼센트가 메르스 감염 지역, 병원 정보를 진즉에 공개해야 했다고 보았습니다. 메르스 확진 환자가 점차 늘어나는 가운데 사회적 불안 심리 또한 진정되지 않고 있는 형국입니다. 정부의 초기 대응 실패도 문제였지만,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집중 보도에 신경을 기울였어야 할 신문과 방송이 공포를 조장하면서 국민의 혼란을 부추긴 점도 간과할 수 없다고 봅니다. 오늘은 메르스 정국으로 사회가 혼란스러운 가운데 우리가 지나쳐서는 .. 2015. 6. 9.
2003년의 사스 vs. 2015년의 메르스 메르스 의심 판정이 군(軍) 안에서도 발견되어 큰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오산공군기지 소속 원사 1명이 6월 3일 메르스 양성 판정을 받고 군 병원에 격리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문병을 갔던 소속 장병 100여 명도 자택 등에 격리 조처되었습니다. 군은 특성상 잘못하면 전염병이 퍼지기 쉽습니다. 그리고 군 내 상황은 안보와도 직결되는 문제입니다. 메르스 양성 판정을 받은 원사는 골절 치료를 위해 메르스 확정 판정을 받은 환자가 있던 경기 모 병원에 입원해 있었다고 합니다. 만약 박근혜 정부가 늑장을 부리지 않고 메르스 환자가 있는 병원의 정보를 공개했더라면 어땠을까요? 그랬다면 100명의 장병이 문병 갔다가 격리되는 일이 발생하진 않았겠지요. 출처 - 경향신문지난 기사 메르스 정국과 홍준표 경.. 2015. 6. 4.
메르스 정국과 홍준표 경남지사 주민소환 대한민국이 중동호흡기증후군(이하 메르스) 정국으로 빠져들고 있습니다. 메르스로 인한 사망자와 3차 감염자까지 발생하자 이에 따른 확산 사태를 우려하면서 정부의 안일한 대응을 질타하는 여론이 거셉니다. 야당은 메르스 확산 사태를 세월호 참사와 비교하면서 컨트롤타워 부재를 지적하는 등 대여공세 소재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반면 여당은 메르스 사태의 심각성을 감안하면서도 정부의 방침에 협조해야 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습니다. 6월 임시국회의 주요 현안을 사회 불안 상황이 집어삼킬 수도 있음을 감안해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최근 디플레이션 조짐까지 보이는데 자칫 메르스가 악화되면 세월호 충격보다 훨씬 더 크게 경제에 충격으로 다가올 수 있다는 위기의식을 갖지 않을 수 없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출처 - 시사인.. 2015. 6. 3.
독립된 삶을 추구하는 모든 이에게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한때 생각비행에서 연재했던 기사 [독립, 하셨습니까?]를 책으로 엮어 출간했습니다. 2012년 8월 2일부터 2013년 7월 26일까지 총 8번의 연재물로 진행된 기사의 기획의도는 이랬습니다. "꿈을 펼치는 일의 연장선에서 글을 써보려 한다... 인터뷰와 문화 리뷰+칼럼이 뒤섞여 모호하지만, 어딘가로부터 독립한 '사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글이랄까. 내가 면하고 있는 것들이 하나같이 자본으로부터의 철저한 독립, 대중성 없음, 알아주는 이 적으나 열광적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으므로 보편에 기대는 이야기들은 아닐 것이다" 어딘가로부터, 무언가로부터 '독립'한 사람들과의 만남, 그들에게 들은 이야기를 자신의 것으로 소화해 다시 들려주는 이은 씨의 연재물은 특별했습니다. 다양한 삶.. 2015. 6.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