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보도938 세월호 참사 8주기, 그러나 요원한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지난 4월 16일 세월호 참사 8주기 기억식이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열렸습니다. 화창한 날씨였지만 슬픔만이 가득했습니다. 안타깝게도 희생자 유족은 올해 똑같은 이야기를 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지난해 4월 16일 "8주기에는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외치지 않고 추모만 할 수 있게 해달라"면서 울먹이던 그들이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또다시 강조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입니다. 출처 - 연합뉴스 4.16 세월호 참사 가족협의회 운영위원장은 박근혜 정부는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요구하는 유족들을 탄압했고, 문재인 정부는 소극적 태도로 일관했다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차기 정부인 윤석열 정부가 이를 책임지고 완수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출처 - 뉴시스 세월호 참사 당시 생존 학생이었던 장애진 씨는 이제 스물여.. 2022. 4. 18. 코로나19 엔데믹 선언, 신중하게 접근해야 최근 들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실외 마스크 해제 관련 기사가 많이 보이는데요, 코로나19 확진자 추세가 꺾인 건 다행스러운 일입니다. 출처 - 매일안전신문 4월 12일 현재 확진자는 21만 명을 기록해 지난주 화요일보다 5만 5000여 명 줄었습니다. 3월 15일 36만 2283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4주간 내림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거리두기 해제의 정부 기준인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수도 줄어드는 추세이긴 합니다. 출처 - SBS 세계보건기구(WHO)는 감염병 경보를 6단계로 나누는데 유행 지역이 넓을수록, 확산 속도가 빠를수록 수치가 높아져 가장 높은 6단계를 팬데믹 상황으로 봅니다. 사스나 에볼라처럼 감염 피해가 특정 지역에 한정되는 경우를 4단계 에피데믹으로 봅니다. 세계적으로 보면 유행하지.. 2022. 4. 12. 도 넘은 러시아군의 민간인 학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시작된 전쟁이 벌써 42일 차에 접어들었습니다. 최근 러시아군이 자행한 민간인 집단 학살로 국제사회가 경악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이우 외곽에 있는 도시인 부차에서 러시아군의 민간인 집단 학살이 영상을 비롯한 숱한 증거와 함께 폭로된 것이죠. 출처 - YTN 우크라이나 정부는 지난 4월 3일 부차 등 키이우 인근 지역에서 민간인 복장을 한 시신 410구 이상을 발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외신들 역시 부차에서 민간인으로 추정되는 시신 100구 이상이 집단 매장된 무덤이 발견되고 도로에 버려진 일부 시신의 손이 등 뒤로 묶여 있는 등 교전 상황이 아니라 명백히 총살당한 모습으로 발견되는 점 등을 알리며 적어도 수백 명, 많으면 수천 명에 달하는 민간인이 학살된.. 2022. 4. 8. 윤석열 인수위, 세계 경제 리스크 감당할 수 있을까? 최근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코로나19 팬데믹 지속으로 인한 경기둔화 등 이른바 3대 경제 리스크를 보고서에서 제기했습니다. 이 모두가 현실이 됨에 따라 이번에 지명된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후보자는 지난 30일 국내 경제 영향과 이에 맞춘 통화정책 방향 등을 금융통화위원, 한국은행 임직원과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창용 후보자는 IMF의 아시아태평양 국장을 지낸 바 있죠. 출처 - YTN 세계경제가 격랑 속에 빠진 엄중한 시기에 윤석열과 인수위의 행동은 기이하기 짝이 없습니다. 전문가를 총동원해 머리를 맞대도 모자랄 판국인데 경제 문제를 선무당들에게 묻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 28일 인수위 관계자에 따르면 거시경제를 담당하는 경제1분과는 부처 업무.. 2022. 3. 31.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