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비행(전체)1370

홍콩보안법 발효, 세계의 반응과 우리의 대응은? 지난 7월 1일은 홍콩 반환 23주년 기념일이었습니다. 그리고 홍콩보안법이 본격 시행된 첫날이기도 하죠. 이로써 일국양제로 아슬아슬 유지해오던 홍콩 자치가 유명무실해졌습니다. 홍콩보안법은 외국 세력과 결탁, 국가 분열, 국가 정권 전복, 테러리즘 행위 등을 금지·처벌하고 홍콩 내에 이를 집행할 기관을 설치하는 내용이 골자입니다. 보안법은 민주화 사회에 살고 있던 홍콩인들에게는 악몽입니다. 몇 년 동안 조금씩 일상이 무너져왔는데 이제 입이 막히고 손마저 묶이는 형국이니까요. 출처 - 연합뉴스 홍콩 국가보안법이 시행된 첫날, 홍콩 곳곳에서 이 법의 철폐를 요구하는 시민들의 집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370여 명이 홍콩보안법이 적용되어 체포됐습니다. 이 중 10여 명은 보안법 위반 혐의로 DNA 샘플을 채취당.. 2020. 7. 8.
마우트하우젠의 사진사 - 나치의 만행을 빼돌린 필름으로 증언하다 우리나라는 아시아에서 최다 세계기록유산 보유국입니다. '기록'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문화가 자연스럽게 많은 세계기록유산을 보유한 역사로 이어진 듯합니다. 지난 6월 25일 광주시는 ‘5․18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고 밝혔습니다. 정부 지원 없이 민간 NGO가 주도적으로 추진해 달성한 성과이기에 그 의미가 큽니다. 최근 정부는 일본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 취소를 추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군함도로 알려진 일본 나가사키 앞바다의 섬 하시마는 1940년대 강제징용된 조선인들이 석탄 채굴에 동원됐다가 100명 이상 숨진 곳이죠. 일본은 군함도의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며 이런 역사적 사실을 알리겠다고 했지만,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습니다. 역사 왜곡은 어떤 이유로든 허.. 2020. 7. 3.
인천국제공항공사 정규직화 논란, 무엇을 의미하나? 지난 23일 청와대 청원 게시판에 기막힌 청원이 올라왔습니다. 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화를 그만두라는 청원이었는데요. 하루 만에 20만 명이 동의할 정도로 뜨거운 논란의 대상이었습니다. 이 청원은 소위 취준생들 사이에서 논란이 있었다는 인천국제공항공사의 비정규직 정규화에 대한 반발에서 나온 해프닝입니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비정규직 제로를 선언하며 1900여 명의 보안검색 요원을 청원경찰 신분으로 직접 고용하기로 했다는 기사가 나온 게 원인이었습니다. 출처 - 세계일보 청원인은 인천국제공항공사를 들어가려고 스펙을 쌓고 공부하는 취준생들, 현직자들이 무슨 죄냐면서 노력하는 이들의 자리를 뺏게 해주는 게 평등이냐고 항의했습니다. 취준생들은 인천국제공항에 들어가려고 대학 나와 수년을 공부하고 있는데 누구는 알바하.. 2020. 6. 26.
대학 등록금 반환 논란, 어떤 답을 내놓을 것인가? 코로나19 사태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분이 많으실 텐데요, 대학생들도 등록금과 관련해 불만이 폭발 직전에 있습니다. 한 대학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에 따르면 대학이 비싼 등록금을 받아먹고서 강의를 제대로 하지도 않고, 자습하는 것이나 다름없는 영상을 틀어놓고는 과제만 요구한다고 하죠. 설상가상으로 기말시험을 대면으로 치르겠다는 대학교들의 방침에 불만이 터진 겁니다. 출처 - 뉴스1 1학기 15학점을 신청했는데 과제가 43개에다 기말고사 공부는 별도라는 학생, 비싼 등록금을 내놓고 교수한테 직접 들어도 이해할까 말까 한 전공 수업을 인터넷 검색으로 이해하며 문제를 풀고 있어야 하는 게 어이없다는 학생들도 수두룩합니다. 코로나19로 비대면 강의를 한다면서 TV에 나온 다큐멘터리를 틀어주거나, 직접 찍었다지.. 2020.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