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비행(전체)1370 연합뉴스 포털 퇴출을 보는 우리의 시각 지난 9월 네이버와 다음에서 연합뉴스 콘텐츠가 사라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연합뉴스가 기업으로부터 돈을 받고 쓴 광고성 기사를 마치 일반 기사인 것처럼 포털에 송출한 사실이 명백히 드러났기 때문이었습니다. 네이버, 다음의 뉴스 제휴와 제재 심사를 전담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가 연합뉴스에 32일간 노출 중단 징계를 내렸는데요, 한 달이 넘도록 노출을 중단한 것은 2015년 출범 이후 처음 내린 조치였습니다. 연합뉴스가 대놓고 독자들을 기만한 사건이기에 저널리즘의 윤리를 바로 세우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필요한 징계였습니다. 연합뉴스는 연간 300억 원의 정부구독료를 받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이기 때문에 엄중한 책임을 져야 할 의무가 있다고 본 겁니다. 출처 - 미디어오늘 연합뉴스에 대한 징계는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2021. 11. 18.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치르는 수능, 준비물과 유의사항은? 수능이 일주일도 채 남지 않았습니다. 오는 11월 18일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 시험은 위드 코로나 상황에서 치르게 되었습니다. 올해 수능에는 지난해보다 1만 6387명 증가한 50만 9821명이 응시원서를 제출했다고 합니다. 고3 재학생은 1만 4037명 증가한 36만 710명이고, 재수생은 1764명 늘어 13만 4834명, 검정고시생은 586명 늘어난 1만 4277명이라고 합니다. 2021학년도 수능은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치르는 첫 시험이었습니다. 시험 준비만 해도 쉽지 않은데 코로나 상황조차 매번 달라지니 이번엔 무엇이 바뀌고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닙니다. 출처 - 공동취재단 최근 요소수 대란이 수능 시험에 영향을 주진 않을까 걱정하는 상황도 있었습니다만, 지난.. 2021. 11. 15. 위드 코로나, 현 상황과 나아갈 바는? 11월 1일 오전 5시부터 위드 코로나가 시작되었습니다. 당장 불가능한 종식보다는 코로나19와 함께 살며 상황을 통제한다는 뜻을 담은 방역 완화 계획을 시행한 건데요, 백신 접종 완료율이 애초 목표치를 상회하면서 단계적 일상 회복 3단계 중 첫 단계를 시작한 현재, 우리의 삶은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출처 - 연합뉴스 위드 코로나 1단계로 생업을 위한 시설들의 영업시간 규제가 풀렸습니다. 식당이나, 카페, 노래방, 극장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감염 고위험 시설인 유흥시설은 밤 12시까지로 영업시간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고위험 시설에는 백신패스제가 도입되었습니다. 당분간 불편하지만 이용자는 접종증명 앱이나 음성확인 증명서 등을 제시해야 합니다. 출처 - 연합뉴스 6주간 지속되는 위드 코로나 1단계가 문제 없.. 2021. 11. 12. 투자를 위한 생각의 틀 -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금융·경제 지식 바야흐로 복잡하고 불확실한 세상에서 투자에 대한 공부가 필수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으로 저금리와 유동성의 홍수 속에서 금융투자가 새로운 화두로 떠올랐죠.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양적완화정책으로 저금리 기조가 형성되면서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자산 가격이 빠르게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극적인 변화는 재테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이끌었는데요, 경제를 전공하지 않은 개인투자자가 거시경제, 채권, 주가, 환율, 금리, 각종 금융상품 등을 공부하며 투자하기란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생각비행이 출간한 《투자를 위한 생각의 틀》은 개인투자자가 투자전략을 세우는 데 도움을 주는 책입니다. 이 책의 저자인 임경 전 한국은행 경남본부장은 2015년부터 최근 5판 개정판까지 꾸준히 독자의 사랑을 .. 2021. 11. 11.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