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비행(전체)1370 스마트폰, 아이패드도 TV 수신료 내라고? 아파트 관리사무소로부터 집에 TV가 없냐는 질문을 받아보신 분이 계실 겁니다. TV 수신료가 0원이라 확인차 전화하는 것인데, 이때 집에 TV가 있다고 대답하면 TV 수신료를 물게 됩니다. 요즘은 TV로 공중파를 보지 않고 IPTV로 관련 콘텐츠를 보는 분이 많이 계시죠. 그러니 TV가 있다고 무조건 TV 수신료를 내야 한다는 건 불합리하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평소에는 의식 못 하고 있다가 이런 일이 생기면 문득 우리가 공짜로 보는 것 같은 TV 방송도 공짜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출처 - 미디어오늘 TV 수신료는 공영방송인 KBS의 공적 기능을 강화하고 질 높은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목적으로 국민에게 걷는 일종의 세금입니다. MBC, SBS, KBS2 등의 지상파는 광고수익을 거두기 때.. 2016. 7. 4. 토플러가 말한 한국의 선택의 기로, 그 후 15년 오늘 세계적인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가 별세했습니다. 그는 1928년생으로 향년 87세였습니다. 정보혁명을 예견한 대표작 《제3의 물결》을 비롯해 《미래의 충격》 《권력 이동》 《부의 미래》 등 21세기를 예견한 저서를 남겼습니다. 출처 - 이데일리 뉴욕 출신인 앨빈 토플러는 뉴욕대에서 영어를 전공하다가 부인이 되는 하이디를 만났습니다. 이후 자식 없이 60년을 함께합니다. 두 사람은 1950년에 클리블랜드로 이주해 공장에 취직합니다. 토플러는 용접공으로, 부인은 노조 직원으로 일했죠. 훗날 미래학자가 되는 사람의 인생 궤적이라면 좀 특이하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앨빈 토플러는 이때의 경험을 통해 공장 노동자가 사무직 노동자보다 지능적이지 않다는 사회적 통념이 잘못된 것임을 깨닫게 됩니다. 출처 - K.. 2016. 7. 2.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진격의 국민! 박근혜 정권의 역사 쿠데타인 한국사 국정 교과서에 대한 반격이 시작되었습니다. 지난해 12월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은 '역사 교과서 국정화 고시로 헌법상 권리가 침해됐다'며 헌법소원을 제기했습니다. 올해 1월 민변은 헌법상 권리를 침해당한 역사 교과서 집필진, 학부모, 학교장 등 3374명을 대리해 교육부장관을 상대로 서울행정법원에 소송을 냈습니다. 그리고 지난 6월 22일 서울행정법원 행정1부 심리로 열린 1차 변론기일에서 민변 측은 관련 법률에 대한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해달라고 재판부에 요청했습니다. 초등등교육법 제29조 2항의 '교과용 도서의 범위, 저작, 검정, 인정, 발행, 공급, 선정 및 가격 사정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는 내용이 교육제도를 법으로 정하도록 한 헌법 .. 2016. 6. 30. 브렉시트 정국에 살펴보는 전기, 가스 민영화 지난 14일 박근혜 대통령은 서울 정부청사에서 열린 공공기관장 워크숍에 참석해 에너지 산업, 민간이 잘하는 부분은 민간에 이양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습니다. 박근혜 정권은 126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에너지.환경.교육분야 공공기관 기능조정 방안을 의결하고 이를 발표했죠. 예를 들어 한국전력이 독점하고 있는 전력 소매 분야를 단계적으로 민간개방하고 한국가스공사가 독점하고 있는 가스 도입, 도매 시장도 2025년부터 민간직수입제도를 통해 개방하는 등 공공기관과 공기업이 담당하는 분야를 민간에 대폭 개방하겠다는 겁니다. 출처 – SBS 출처 - 경향신문 명목상 수명을 다하여 자본 잠식에 들어간 석탄공사 같은 경우가 있긴 합니다. 이번 발표로 석탄공사와 광물자원공사의 기능은 단계적으로 축소돼 사실상 폐지 .. 2016. 6. 28. 이전 1 ···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