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보도938 세계 각국의 시위 문화에 영향을 끼친 영화들 1960년 4월 19일, 학생과 시민이 중심이 되어 부정선거로 얼룩진 이승만 정권을 심판한 4.19 혁명. 헌법에 명시된 대한민국 정신의 기둥 중 하나입니다. 민중의 힘으로 독재자를 권좌에서 물러나게 한 역사적 이정표로 기억되는 4.19 혁명은 같은 시기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미국 주도의 냉전에 가담하는 미일상호방위조약 개정에 반대하여 일어난 일본의 안보투쟁과 대만의 민주화운동은 4.19 혁명에 큰 영감을 받은 대표적인 사건입니다. 한 나라의 시위가 다른 나라에 영향을 준 사례를 찾기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지구촌이 된 오늘날 전 영역에서 영향을 주고받는 일이 더욱 빈번해졌으니까요. 최근 세계 각국의 시위 현장에서 드러나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대중문화, 특히 영화의 영.. 2014. 10. 20. 폐허가 된 국제 경기장이 주는 교훈 올림픽, 동계올림픽, 월드컵 등 국제적 행사를 치른 뒤 경기장이 어떤 모습으로 변해버렸는지 현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 최근에 화제가 되었습니다. 눈으로 직접 확인한 경기장들의 면면은 그야말로 참혹합니다. 국제 행사를 치른 공간이 국가적 애물단지로 전락한 모습을 보면 상처뿐인 영광이란 표현이 제격인 것 같습니다. 출처 - KBS 폐허로 변한 아테네,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 인터넷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확산된 국제 경기장의 모습은 80여 년이 다 된 베를린 올림픽 경기장부터 국제 경기를 치른 지 불과 6년밖에 안 된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에 이르기까지 다채롭습니다. 하지만 처참한 광경은 거의 똑같습니다. 수많은 사람이 모여 땀을 흘리며 선의의 경쟁을 펼치는 국제적 이벤트가 끝난 뒤 .. 2014. 10. 16. 삼척 원전 주민투표, 탈핵 움직임의 전환점되나? 지난번에 소개해드린 스코틀랜드 독립 찬반을 묻는 투표처럼 의미 있는 주민 자치 투표가 우리나라에도 있었습니다. 한글날인 지난 10월 9일 강원도 삼척에서 진행된 원자력 발전소 유치에 대한 찬반 투표였는데요, 어지간한 지방선거 투표율에 버금가는 68퍼센트를 기록했으며 그 결과는 85.6퍼센트의 압도적인 반대였습니다. 강원도 삼척 주민은 당장 눈에 보이는 돈보다 장기적으로 환경과 안전이 더 중요하다는 의사를 투표를 통해 드러냈다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삼척 원전 유치 찬반 투표의 결과가 앞으로 우리나라 탈핵운동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살펴보겠습니다. 출처 - SBS 삼척 원전 주민투표 압도적 반대의 의미 박근혜 정부는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동일본대지진의 여파로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대재.. 2014. 10. 10. 스코틀랜드 독립 투표, 우리에게 남긴 것은? 유럽과 영국의 운명을 가를 것으로 점쳐지던 스코틀랜드 독립 투표가 아시다시피 박빙의 승부 끝에 부결되었습니다. 투표를 앞두고 어느 쪽으로 결정되든 영국 정치계, 나아가 유럽 정세에 큰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예상이 지배적이었습니다. 오늘은 스코틀랜드의 독립 열망과 독립 투표 과정, 그리고 부결이라는 결과가 영국과 유럽에 불러올 후폭풍에 대해 살펴본 이후 왜 이런 정치, 사회적인 변화에 우리가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지를 논의해보려 합니다. 스코틀랜드 독립의 역사 출처 - BBC 멜 깁슨이 스코틀랜드 독립투사 윌리엄 월레스로 분한 영화 《브레이브 하트》를 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영국은 원래 하나의 나라가 아니었습니다. 그렇다고 우리나라 역사에서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를 합병하고 통일신라가 된 것처럼, 잉글랜드.. 2014. 10. 7. 이전 1 ··· 197 198 199 200 201 202 203 ··· 2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