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1. 12. 12. 18:33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지난 12월 3일에 1박 2일 일정으로 제주도를 다녀왔습니다. 구럼비살리기 시민행동(공동대표 강동균, 오영덕, 이태섭, 장하나) 주최로 제주 해군기지 백지화 제6차 전국시민행동, 평화비행기 행사로는 제3차 집회가 예정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날 행사에 생각비행은 강정마을 국제팀에서 의뢰한 을 제작해서 가지고 내려갔습니다. 그동안 강정마을의 상황을 널리 알리려는 뜻에서 저희가 제작한 전단을 활동가에게 전달한 적은 있지만, 공식적으로 소식지 제작을 요청받은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뜻깊은 일에 연대할 수 있어서 작업 과정 자체가 보람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강정마을에 도착해서 신문을 전달하고 반가운 분들과 인사를 나눈 뒤 이번에 새로 세운 망루에 오르기로 했습니다. 중덕해변이 보고..
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1. 11. 24. 19:27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어제 오후 3시 49분에 강정마을 소식을 누구보다 먼저 전달하는 트위터 강정당 당수 세리 씨한테서 문자를 한 통 받았습니다. 속보] 강정마을회장 강동균, 구럼비주방장 김종환, 순례자 김동원 석방! 와~!^^ 그리고 강정마을의 세리와 벤자민 오늘 저녁 서울 수요촛불문화제 참석합니다! 보고 싶어요. 친구들^^ 모두 모여 석방 축하파티해요~ 강정마을 촛불문화제와 이원생방송하면 더 좋겠다~^^ 멀리서 벗이 찾아오니 기쁘지 않겠습니까? 강정마을과 연대하는 이는 모두가 친구요, 동지인데요. 기쁜 마음으로 수요촛불문화제에 참석했습니다. 어제 '수요평화촛불'은 제53차 모임으로 1주년을 맞는 뜻깊은 날이었습니다. '다시 평화를 이야기하자'라는 주제로 모였는데요, 강정마을에서 활동 중인 분들..
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1. 11. 18. 13:31
대한민국을 떠도는 괴담의 실체 오늘 아침《경향신문》 31면 오피니언란에서 주창윤 서울여대 교수가 쓴 라는 칼럼을 읽었습니다. 여기에 한 대목을 옮겨봅니다. "인터넷을 통해서 사실인지 아닌지 알 수 없는 뜬소문들의 진짜 진원지는 정부다. BBK, 광우병 촛불집회, 미네르바 사건, 천안함과 연평도, 일본 원전사고 이후 방사성 물질 국내 유입, 내곡동 사저에 이르기까지 정부는 말바꾸기를 통해서 신뢰를 잃어버렸다. 정부의 공식적 발표는 늘 허점투성이였다. 정권은 그동안 불리한 정보는 숨겼고,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정보는 과장해서 발표했으며 때로는 정부 발표 자체가 거짓으로 판명나기도 했다. 지난 몇 해 동안 국민들은 이 과정을 지켜봐왔다." 그렇습니다. 국민과 소통하지 않는 정부가 괴담의 실체입니다. 자신들의 정..
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1. 11. 10. 12:04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오랜만에 강정마을 소식을 전합니다. 해군기지 공사현장 주변에 펜스를 설치하고 평탄화 작업을 위해 구럼비를 깨는 작업이 시작되자 이제 대한민국 해군의 사업을 막을 명분이 없는 게 아니냐고 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물론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존하는 게 일차적으로 중요하지만, 해군기지 건설사업이 조금 진행되었다고 해서 그저 용인할 수는 없는 문제입니다. 제주 해군기지는 환경, 평화, 군축, 민주주의적 절차와 합리성, 인권, 경제관계와 같이 다양한 문제가 엮인 문제입니다.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서로 다른 잣대로 이 사안을 바라보기 때문에 해결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이죠. 하여 오늘은 평화의 섬 제주에서 해군기지 건설에 반대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담은 책을 소개할까 합니..
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1. 9. 29. 13:51
강정마을 생명평화축제에서 만납시다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10월 1일에 강정마을 생명평화축제 두 번째 행사가 열린다는 것, 다들 알고 계시죠? 첫 행사는 평화비행기와 평화버스를 가득 채운 시민의 열정에 힘입어 무사히 마쳤습니다. 하지만 그 뒤로 해군은 공사를 재개했고 구럼비를 깨뜨려 강정마을 주민과 지지자들에게 충격을 안겼습니다. 거대한 한 덩어리 용암바위인 구럼비는 지금 이 시대를 사는 우리만의 것이 아닙니다. 후손과 함께 공유해야 할 자연유산이기 때문입니다. 국가안보라는 허울로 소중한 자연을 훼손하고 있는 위정자들과 해군과 시공사에 국민의 뜻이 무엇인지 보여줘야 합니다. 1차 평화비행기에 협력했던 티웨이항공은 외압에 시달렸다고 합니다. 결국 이번 행사는 전국 각지에서 개별적으로 와야 합니다.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