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2. 6. 6. 14:14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6월 4일에 이란 기사로 여러분께 제주 해군기지 공사중단 및 예산 삭감, 국정조사, 특검제 실시를 요구하는 청원이 접수되었다는 사실을 알려드렸습니다. 생각비행은 어제 오전 국회의사당 정론관에서 열린 기자회견과 거리홍보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9호선 국회의사당역 1번 출구 앞에서 이미 여러 분이 거리홍보를 하고 계셨습니다. 1인 시위 중인 평화지지자 곁으로 다양한 홍보물이 눈에 띄는군요. 제주도 남방큰돌고래가 구럼비와 강정주민을 걱정하고 있네요. 남방큰돌고래는 국제적 보호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해상에서 100여 마리만 서식하는 것으로 추정합니다. 제주 강정마을에 해군기지가 들어서면 항공모함, 이지스 군함, 잠수함 등에 의해 환경이 훼손됨은 물론 엄청난 소음공해가 발생할 텐데 ..
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2. 6. 4. 16:31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지난 5월 30일 여러 언론은 19대 국회 제1호 청원으로 제주해군기지 공사중단 및 예산삭감, 국정조사, 특검제 실시를 요구하는 이 접수되었다는 사실을 보도했습니다. 청원은 국회 입법과 관련해서 국민이 직접 의견을 제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19대 국회 1호 청원은 으로 알려지기도 했는데요, 확인 결과 이 결의안은 3호로 접수됐고, '제주와 세계 평화를 위한 10만송이 청년들'이 이보다 앞선 5월 30일 오전 9시 30분께 해군기지 문제 청원을 접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해군기지 공사중단, 예산삭감, 국정조사, 특검제에 관한 청원] 1. 청원 취지 제주 해군기지는 현재 치명적인 설계오류로 인하여 민항과 군항의 기능을 할 수 없음이 밝혀졌고 현지 주민은 물론 제주도민과 국민적..
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2. 5. 9. 13:29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저희는 제주 해군기지 문제를 널리 알리고자 여러번에 걸쳐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관련 기사 보기) 최근에는 제주-세계7대자연경관 선정의 문제점을 두 번에 걸쳐 집중적으로 다뤘는데요, 그 이유는 이렇습니다. 제주시 당국이 도민 대다수가 반대하는 해군기지를 건설하도록 용인하면서 어떻게 사기성이 농후한 제주-세계7대자연경관 선정 캠페인에 국민의 세금을 낭비했는지 그 아이러니에 기가 막혔기 때문입니다. 지난번 이라는 기사에서 저희는 제주-세계7대자연경관 선정투표 방식을 두고 국내전화를 국제전화로 둔갑시킨 KT의 사기극에 관해 말씀드렸습니다. 또한 문제가 많은 제주-세계7대자연경관선정 캠페인의 의혹을 풀기 위해 제주도에서 여러 시민단체가 감사원에 공익감사청구를 했으나 감사원이 감..
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2. 4. 6. 06:29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저희는 지난번에 이라는 기사에서 제주 세계7대자연경관 캠페인의 사기성을 소개한 바 있습니다. 그때 간단히 정리한 의혹을 다시 한 번 살펴볼까요? -웃기게도 우리나라만 전화투표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국내 전화인데도 국제전화 번호(001-)가 부여되어 있습니다. 애국심을 유발하려는 저의가 있고, 전화비를 올리려는 꼼수가 숨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1년 9월 말까지 전화투표에 사용된 금액이 211억 8600만 원입니다(1억 800만 통). 이 중에 100억 원이 넘는 행정전화비를 이미 KT에 납부했습니다. 우근민 제주도지사는 도의회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81억 원의 예비비를 전화비로 지출하고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얘기합니다. -9월 말 이후 전화 통계는 공개된 바 없..
시사/보도/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생각비행 2012. 3. 1. 12:12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지난 1월 25일 KBS 은 제주세계7대경관 의혹을 다뤘습니다. 이로써 국회가 만장일치로 지지를 결의하고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투표를 독려했던 캠페인이 허점투성이였음이 고스란히 드러났습니다. 하지만 정치권과 보수언론의 적극적인 옹호로 의미 있는 문제제기가 묻히는가 싶던 차에 은 '제주 세계 7대 자연경관 방송 그 후, 지금 제주는?' 편을 방송해 이 캠페인의 짙은 사기성이 전 국민의 눈앞에 다시금 드러났습니다. 제주 세계7대자연경관 선정 캠페인, 그 사기성에 기가 찬다 관광객이 증가하고 국가 브랜드가치가 상승한다는 기대 속에서 2011년에 수많은 국민이 제주세계7대경관 선정투표에 참여했습니다. 하지만 중복투표에 따른 신뢰도 하락, 공개되지 않은 재단의 실체문제, 후보지였던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