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비행(전체)1370 드라마 같은 권선징악, <쫓겨난 교사와 쫓아낸 학교 뒤바뀐 운명> 쫓겨난 교사와 쫓아낸 학교 뒤바뀐 운명(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0/12/16/0200000000AKR20101216090400004.HTML, 연합뉴스 ) 세상만사는 새옹지마라고 했던가요? 드라마 같은 권선징악 스토리가 현실에서 벌어졌군요. 사립학교의 재단 비리 의혹을 제보했던 선생님이 재단 이사진에 의해 불합리하게 파면당했는데 그 선생님이 해당 지역 교육의원으로 출마한 뒤 당선되어 돌아왔네요. 그 선생님을 파면했던 이사들은 결국 비리가 사실로 밝혀지며 이사장은 불구속 기소되고 이사 전원에 대해 취임 승인을 취소하기로 했답니다. 얼마 전 큰 이슈가 되었던 위키리크스처럼 내부고발은 개인에게 참 크나큰 위험부담을 짊어지게 합니다. 이 선생님도 법정 다툼으로 .. 2010. 12. 17. 롯데마트 치킨 전쟁, 승자는 누구인가? 이마트 피자에 이어 뜨거운 찬반양론을 몰고 온 롯데마트의 5000원짜리 통큰치킨이 결국 16일부로 판매를 중단하기로 결정하며 7일 천하로 막을 내렸습니다. SSM(기업형 슈퍼마켓)이 재래시장에 타격을 준 데 이어 영세업종인 피자와 치킨 분야까지 건드리면서 일어난 일종의 해프닝이었죠. 대기업이 소규모 개인 사업자들을 짓밟음으로써 시민의 반발을 샀다는 점은 지금으로부터 100년 전, 아이다 미네르바 타벨의 어린 시절과 조금도 바뀐 바가 없다는 사실이 우릴 슬프게 합니다. 잃은 것과 얻은 것 타협이 아닌 저항을 꿈꾸다 아버지가 겪는 고역을 곁에서 지켜보며 타벨은 석유 생산자 조합에 동질감을 느꼈고, 기업 하나가 다수의 사업가가 품은 꿈을 무참히 파괴할 힘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또렷하게 알게 되었다. 재능이.. 2010. 12. 14. <PD수첩> <시사매거진 2580>과 같은 '탐사보도'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저희는 《아이다 미네르바 타벨》을 출간한 이후 여러분께 '탐사보도'라는 분야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그와 관련하여 몇 개의 포스팅을 했습니다. 탐사보도와 관련된 포스팅 - 이 시대의 폭로 저널리즘? '위키리크스' - 맷값 최철원 선생과 PD수첩 무죄 판결 - 언론은 진실만을 전하고 있는가? - 헌법재판소의 미디어법 기각과 언론 재벌의 독과점 - 미국의 반(反)독점법에 대해 아시나요? 하지만 정작 '탐사보도'에 대한 개념과 역사에 대해 소개하지 못해 아쉬웠는데요, 이에 '탐사보도'의 정의와 역사에 대해 여러분께 소개하는 포스팅을 연재할까 합니다. 이번 연재물을 통해 '탐사보도'가 어떤 것인지 한번 돌아보시고 그러한 보도 방식의 완성에 큰 공을 세운 '아이다 미네르바 타벨'을 .. 2010. 12. 10. 석유 독점재벌 록펠러를 쓰러뜨린 한 여성의 일대기 인간의 행위가 올바름과 온전함을 추구해야 한다는 진리를 인정하지 않으며 관세율이 도덕적으로 온당하게 개정되어야 한다는 사실마저 거부하는 그런 권력자만큼 위험한 존재는 없다. - 아이다 미네르바 타벨 원출처 : No Man More Dangerous( http://www.youtube.com/watch?v=5Yog7FyAFyA, 'The Erie Hall of Fame'의 유튜브 )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생각비행이 아이다 미네르바 타벨의 이리 명예의 전당 2009년 수상 기념 동영상에 한글 자막을 붙여보았습니다. ^_^ 1857년 11월 5일 석유 개척기 시대에 펜실베이니아 시골 마을에서 출생한 아이다 미네르바 타벨이 《매클루어 매거진》에 기고하기 시작해 명실상부한 커리어 우먼으로 자리 잡고, 총 .. 2010. 12. 7. 이전 1 ··· 325 326 327 328 329 330 331 ··· 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