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각비행(전체)1370

의료사고에 대처하는 8가지 방법 지난 5일, 1990년대 한국 대중음악의 큰 산맥이자 거침없는 입담으로 민감한 사회문제에 자신의 의견을 피력했던 마왕 신해철이 영면했습니다. 6년의 공백을 깨고 새로이 솔로와 밴드 활동을 재개하려는 찰나에 죽음을 맞아 팬들뿐 아니라 그의 음악을 들으며 1990년대를 보낸 30~40대의 충격도 컸습니다. 하지만 고인을 애도하는 시간도 잠시, 그의 죽음이 의료사고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지인과 유가족의 요구로 경찰은 부검을 시행했고 1차 소견 발표로는 의료사고로 기우는 형국입니다. 신해철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의료사고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내 가족이 그런 일을 당하면 어떻게 될까 하는 걱정에 휩싸인 분이 많으실 겁니다. 신해철처럼 유명한 연예인도 이렇게 허망하게 죽고 밝혀내기 어.. 2014. 11. 6.
인터넷, 스마트폰 시대에 발맞춰 바뀐 문장부호 세종대왕께서 창제하신 한글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자체계이지만, 한국어의 맞춤법과 표준어는 한국인에게 굉장히 어려운 문제입니다. 2011년 8월 31일 전까지 우리는 "짜장면을 짜장면이라 부르지 못하고..."라는 말을 반은 장난 으로, 반은 진심으로 하곤 했습니다.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홍길동의 애환이 담긴 명대사를 따라서 말입니다. 2011년까지 '짜장면'을 애써 '자장면'으로 써야 했던 이유는 '자장면'만이 표준어였기 때문입니다. 국립국어원이 관장하는 맞춤법, 표준어 규정과 실생활에서 쓰는 한국어 사이에 상당한 괴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2011년 8월 11일 짜장면도 드디어 표준어로 인정되었지요. 언어는 언중의 것이기 때문입니다. 출처 - 한겨레 그 뒤로 3년의.. 2014. 11. 3.
세계 각국의 시위 문화에 영향을 끼친 영화들 1960년 4월 19일, 학생과 시민이 중심이 되어 부정선거로 얼룩진 이승만 정권을 심판한 4.19 혁명. 헌법에 명시된 대한민국 정신의 기둥 중 하나입니다. 민중의 힘으로 독재자를 권좌에서 물러나게 한 역사적 이정표로 기억되는 4.19 혁명은 같은 시기 아시아 국가들의 민주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끼쳤습니다. 미국 주도의 냉전에 가담하는 미일상호방위조약 개정에 반대하여 일어난 일본의 안보투쟁과 대만의 민주화운동은 4.19 혁명에 큰 영감을 받은 대표적인 사건입니다. 한 나라의 시위가 다른 나라에 영향을 준 사례를 찾기란 그리 어렵지 않습니다. 지구촌이 된 오늘날 전 영역에서 영향을 주고받는 일이 더욱 빈번해졌으니까요. 최근 세계 각국의 시위 현장에서 드러나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대중문화, 특히 영화의 영.. 2014. 10. 20.
폐허가 된 국제 경기장이 주는 교훈 올림픽, 동계올림픽, 월드컵 등 국제적 행사를 치른 뒤 경기장이 어떤 모습으로 변해버렸는지 현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 최근에 화제가 되었습니다. 눈으로 직접 확인한 경기장들의 면면은 그야말로 참혹합니다. 국제 행사를 치른 공간이 국가적 애물단지로 전락한 모습을 보면 상처뿐인 영광이란 표현이 제격인 것 같습니다. 출처 - KBS 폐허로 변한 아테네,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 인터넷 커뮤니티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확산된 국제 경기장의 모습은 80여 년이 다 된 베를린 올림픽 경기장부터 국제 경기를 치른 지 불과 6년밖에 안 된 베이징 올림픽 경기장에 이르기까지 다채롭습니다. 하지만 처참한 광경은 거의 똑같습니다. 수많은 사람이 모여 땀을 흘리며 선의의 경쟁을 펼치는 국제적 이벤트가 끝난 뒤 .. 2014.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