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사/보도938

김정일 사망, 그 이후의 한반도를 함께 고민합시다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오늘 오전 북한의 조선중앙TV는 국방위원장이 이틀 전에 사망했다는 소식을 발표했습니다. 엄청난 뉴스인 만큼 방송과 신문, 포털과 SNS는 하루 종일 김정일 사망 관련 소식과 우리 정부의 대응 방향을 놓고 속보 경쟁을 하는 상황입니다. 끊임 없이 올아오는 새 소식은 국민이 마음 편히 일을 하기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과연 남북관계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이며, 우리의 대응은 어떠해야 할지 혼란을 느끼는 분도 많으리라고 봅니다. 이러한 때에 청어람아카데미에서 [번개Talk] 라는 프로그램을 마련했습니다. 좋은 정보라서 간략한 설명을 첨부하여 소개합니다. 한반도평화연구원 윤환철 국장과 (사)따뜻한 한반도 사랑의 연탄나눔운동 남북협력팀 박일수 차장의 대화의 토크쇼 형식으로 진행하는 이.. 2011. 12. 19.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15] 제6차 전국시민행동의 날 참관기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지난 12월 3일에 1박 2일 일정으로 제주도를 다녀왔습니다. 구럼비살리기 시민행동(공동대표 강동균, 오영덕, 이태섭, 장하나) 주최로 제주 해군기지 백지화 제6차 전국시민행동, 평화비행기 행사로는 제3차 집회가 예정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날 행사에 생각비행은 강정마을 국제팀에서 의뢰한 을 제작해서 가지고 내려갔습니다. 그동안 강정마을의 상황을 널리 알리려는 뜻에서 저희가 제작한 전단을 활동가에게 전달한 적은 있지만, 공식적으로 소식지 제작을 요청받은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뜻깊은 일에 연대할 수 있어서 작업 과정 자체가 보람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강정마을에 도착해서 신문을 전달하고 반가운 분들과 인사를 나눈 뒤 이번에 새로 세운 망루에 오르기로 했습니다. 중덕해변이 보고.. 2011. 12. 12.
정보조작 의혹으로 살펴보는 SNS 심의의 허구성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지난 12월 6일 저녁 MBC 의 주제는 최근 사회적 문제로 불거진 소셜네트워크서비스(이하 SNS) 규제였습니다. 4명의 전문가가 나와 토론을 벌였습니다. 정부측 입장에 있는 분들은 SNS 때문에 피해를 보는 사람이 있으므로 이를 규제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 반면, 정부측 입장에 반대하는 분들은 현행법으로 충분히 조처할 수 있는 사항인데 굳이 SNS 규제팀까지 만들어 사회적 소통을 막고 분위기를 무겁게 할 필요가 있느냐는 주장을 펼쳤습니다. 토론자가 갑론을박하는 상황에서 두 명의 시민을 전화로 연결해 의견을 청취했습니다. 그중 1명이 냉면 가게를 운영했으나 SNS 때문에 피해를 봤다며 SNS 규제는 꼭 필요하다고 얘기했습니다. 그런데 어제 온라인에서는 SNS 때문에 피해를 봤.. 2011. 12. 8.
알기 쉽게 정리해놓은 한미FTA 인포그래픽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이명박 정부가 주도하고 한나라당과 일부 야당 의원이 찬성하여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을 날치기로 통과시킨 이후 수많은 시민과 정치인과 시민단체가 광화문에 모여 반대시위를 벌였습니다. 하지만 이명박 대통령은 11월 29일 한미FTA 14개 이행법안에 서명을 했지요. 지난 11월 30일 저녁, 공연에 참석한 약 5만 명 정도의 분노한 시민은 국민의 뜻을 받들지 않는 이명박 정부와 한미FTA에 찬성한 국회의원 151명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앞으로도 한미FTA 반대시위는 계속 이어질 예정입니다. 반대의 뜻으로 촛불문화제에 참석하는 일도 중요하지만, 한미FTA의 문제점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런 사실을 다른 이들에게 널리 알리는 일 또한 중요합니다. 사실 한미FTA.. 2011. 1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