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82년생 김지영〉이 개봉 5일 만에 100만 관객을 넘으며 〈터미네이터〉 신작을 누르고 2주 연속 예매 순위 1위를 기록했습니다. 7일이 지난 현재 141만여 명의 관객이 들었죠. 동명의 원작 소설 역시 120만 부 넘게 판매됐습니다. 80쇄를 넘어 곧 100쇄를 찍은 도서에 들어갈 것이라는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1982년에 태어나 2019년의 오늘을 살아가는 여성 김지영이 삶에 겪는 차별과 불평등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그만큼 많다는 방증이 아닌가 합니다. 책과 영화를 둘러싼 논란 역시 많았지만 그만큼 페미니즘이 우리 사회의 뜨거운 감자라는 뜻이겠죠.
출처 - 영화진흥위원회
생각비행은 〈82년생 김지영〉 영화를 둘러싼 논쟁을 이미 다룬 바 있습니다. ( 82년생 김지영 영화화로 더 선명해진 우리 사회의 여성혐오 : https://ideas0419.com/877) 1년 전 영화화 소식이 전해진 날부터 마치 미래에서 영화를 보고 오기라도 한 듯 영화 사이트마다 평점테러를 날리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개봉을 앞두고 이런 움직임은 극에 달했습니다. 개봉도 하기 전에 일부 남성들을 중심으로 각 영화 사이트에 가장 낮은 점수를 주는 이른바 평점테러가 발생했고, 이에 반발한 일부 여성들이 만점을 주는 바람에 영화가 화제가 되는 한편 큰 혼돈에 빠지고 말았습니다. 실제로 한 영화 평점 사이트에서는 〈82년생 김지영〉이 개봉도 되기 전에 최저점과 최고점밖에 없는 별점 분포가 유출되어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개봉한 뒤 직접 영화를 본 관객들만 매길 수 있는 평점은 대부분 좋은 별점이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82년생 김지영〉이 얼마나 작품 외적인 편견을 가진 사람들에게 시달려왔는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출처 - 왓챠
출처 – 네이버 영화
《82년생 김지영》 책이 수많은 여성의 공감을 받으며 미투운동과 더불어 대한민국 페미니즘 이슈를 견인하는 하나의 사회문화적 아이콘이 되었기 때문인지 인터넷이나 SNS에서 심각한 악플의 대상이 되어왔습니다. 레드벨벳이나 소녀시대 등 인기 연예인 중에 책을 감명 깊게 봤다는 사람이 있으면 쫓아다니며 댓글테러를 하는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반면 똑같이 인상 깊게 봤다는 글을 올린 방탄소년단의 RM에게는 다른 여성 연예인들에 비해 악플이 현저하게 적었습니다. 이것만 봐도 페미니즘 이슈를 둘러싼 우리 사회의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출처 - 경향신문
악플과 평점 테러를 하며 돌아다니던 사람들이 〈82년생 김지영〉 영화 개봉 전부터 똑같이 하고 다닌 것만 봐도 그들이 《82년생 김지영》을 읽거나 보지도 않은 이들임을 알 수 있습니다. 대중에게 다가가기 쉬운 매체인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경우 내용상 굉장히 온건한 편에 속합니다. 21세기 사회에서 이 정도 메시지조차 받아들이지 않고서 어떻게 살아가겠다는 얘긴지 의아할 정도로 말입니다. 결국 우리 사회의 페미니즘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한 차별과 혐오가 참으로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지점입니다. 그러면서도 다른 한편으로 〈82년생 김지영〉을 둘러싼 이슈는 페미니즘에 공감하는 사람이 이렇게 많아졌구나 하는 깨달음을 주는 해프닝이 아니었나 합니다.
출처 - 뉴시스
영화를 좋아하는 분들이나 페미니즘에 관심이 있는 분들은 '벡델 테스트'라는 걸 들어보셨을 겁니다. 미국 여성 만화가인 앨리슨 벡델이 고안한 지표인데, 작품 내에서 균형적 성별 묘사를 위한 최소한의 요소가 영화에 반영돼 있는지를 보는 데 중점을 두는 방식입니다. '영화에 이름을 가진 여성 캐릭터가 두 명 이상 등장하고, 그 여성이 서로 대화를 나누고, 여성 캐릭터의 대화 주제가 남성 캐릭터와 관련이 없어야 한다’는 간단한 조건인데, 의외로 이 벡델 테스트를 통과하는 영화가 많지 않았습니다.
출처 - 카이스트
우리나라 영화 연구에서도 〈82년생 김지영〉의 주인공 같은 사람이 왜 더 많이 나올 수 없었는지를 알 수 있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지난 14일 카이스트 이병주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국내외 영화를 막론하고 여성을 편향적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슬픔, 공포, 놀람 등 수동적인 감정은 여성 배역에 더 표현되어 있는 반면, 분노, 싫음 등 능동적인 감정 표현은 남성 배역에 더 몰려 있다는 겁니다. 여성이 자동차와 함께 나오는 비율은 남성의 절반 수준인 55.7%인데 비해 가구와 함께 나오는 비율은 무려 123.9%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영화 전체에 대한 시간적 점유도에서도 여성은 남성보다 56% 낮았습니다. 여성이 영화에 등장하는 시간이 남성의 절반도 채 안 된다는 거죠. 평균 연령은 79.1% 정도로 여성이 더 어리게 나왔습니다. 남녀 역할이 고정되어 있고 여전히 영화계 전체가 거의 절대적으로 남성 위주로 이뤄져 있다는 결과입니다. 이병주 교수는 영화라는 매체가 대중 잠재의식에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며 영화 내 남녀 캐릭터 묘사를 더 신중하게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출처 - SBS
원작 소설 《82년생 김지영》은 영화 개봉을 앞두고 중국 최대 규모 온라인 서점 당당에서 소설 부문 베스트셀러 1위에 올랐습니다. 초판 4만 부가 금새 동나 2만 5000부를 증쇄해 이미 6만 5000부 판매고를 넘겼죠. 이보다 먼저 나온 일본어판 역시 14만 부를 돌파한 상황입니다. 이처럼 페미니즘은 전 세계적으로 더는 막을 수 없는 시대적 흐름입니다. 더 피하려 하지 말고 우리 곁에 있는 여성들의 마음에 공감하고 그들을 이해하려는 시도를 해보시면 어떨까요? 시작이 반이라는 말도 있으니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