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리서 벗이 찾아오니 기쁘지 않겠습니까? 강정마을과 연대하는 이는 모두가 친구요, 동지인데요. 기쁜 마음으로 수요촛불문화제에 참석했습니다. 어제 '수요평화촛불'은 제53차 모임으로 1주년을 맞는 뜻깊은 날이었습니다. '다시 평화를 이야기하자'라는 주제로 모였는데요, 강정마을에서 활동 중인 분들이 강정의 상황을 공유하는 시간도 있었습니다. 이날 시청광장에서 한미FTA 반대집회가 함께 열려 여느 때보다 모인 분이 조금 적었지만 연대하는 마음은 똑같았습니다.
평화지지자 유가일, 벤자민, 김세리
가운데에서 발언 중인 사람은 벤자민입니다. 예전에 [강정마을 해군기지 건설반대 5] 세계는 제주의 평화를 원한다라는 기사에서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2011년 8월 5일, 보수단체가 강정마을 진입을 시도했을 때 강정천 앞에서 벤자민이 벌인 퍼포먼스가 지금도 눈에 선합니다. 오늘은 벤자민에 대해 조금 더 소개할까 합니다.
2011년 8월 5일 평화를 염원하는 마음을 춤으로 형상화한 벤자민
벤자민은 왜 강정마을에 머물면서 평화운동을 하고 있는 걸까요? 최근 제주 강정마을에서 강정평화학교(Gangjeong Peace School) 프로그램이 시작되었습니다. 사진 오른쪽에서 벤자민의 얘기를 통역하고 있는 유가일 씨가 시작한 활동입니다. 여기에서 벤자민이 <나는 왜 강정마을에 사는가>라는 주제로 강연한 적이 있습니다. 강정평화학교 자료를 참고 해서 소개하겠습니다.
벤자민은 1979년 프랑스 출생으로 15년 동안 가톨릭학교를 다녔고, 졸업 이후에 대학에서 국제마케팅 전공했으나 공부는 별로 안 했다고 하는군요. 아일랜드로 여행을 가서 여행자의 삶을 누리며 산악 안내인 일도 하는 등, 12년 동안 37개국을 여행했다고 합니다. 다양한 직업을 경험했고 8년 정도는 프랑스 바깥에서 지냈습니다.
그가 한국에 온 이유는 정현경 교수와 같이 책을 쓰게 됐기 때문이랍니다. 지난 5월 말 정 교수와 같이 '제주평화포럼'에 참가해 우근민 지사를 만날 때까지는 강정과 해군기지 문제를 몰랐다고 합니다. 국제여성영화제를 조직한 이혜경 씨의 인도로 강정을 방문했을 때는 이미 최성희와 양윤모 선생이 투옥 중인 상황이었고, 이때 개척자들과 세리 씨(사진 오른쪽)의 안내를 받아 강정의 문제를 이해했다고 합니다.
벤자민은 강동균 마을회장의 부탁을 받아 국제팀 활동에 힘을 보탰습니다. 활동가 사이에 조화와 하나 됨이 필요하고, 서로 친절하게 대하는 모습이 필요하다고 느낀 벤자민은 외국 활동가들이 강정을 방문하면 그들을 안내하는 일을 맡았습니다. 지금도 외신 번역과 청원 등의 활동으로 강정마을의 평화를 위해 연대하고 있습니다. 매튜 호이와 더불어 벤자민은 강정마을의 영웅이요, 보배입니다. 그들의 활동으로 평화의 섬 제주의 문제가 전 세계로 확대되었으니까요.
수요평화촛불문화제에는 제주도 출신으로 서울 근교에 거주하는 분들이 매주 방문해서 이야기를 들려주십니다. 최근엔 제주 출신 분들이 모임을 결성하는 중이라는 소식도 들었습니다. 매주 세계정세를 객관적으로 분석해서 알기 쉽게 설명하는 한편 제주에 해군기지가 들어서면 안 되는 이유를 시민에게 열정적으로 설명하는 분도 계십니다. 어제는 중동, 특히 리비아의 민주화 열풍과 그 이면에 개입한 미군의 실체와 관련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루나틱의 지지공연
수요평화촛불 1주년을 기념하며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을 돌아보고 비판하는 시간도 있었습니다. 북측과 대화를 단절한 채 통일을 얘기하고 통일세를 걷겠다는 이명박 정부의 허구성을 낱낱이 파헤쳤습니다.
수요평화촛불문화제는 기념촬영으로 끝납니다.^^ 이날 끝까지 함께한 분들을 촬영했습니다. 추운 날씨였지만 마음만은 뜨거웠습니다. 자리를 정리하고 주린 배를 채운 다음 시청광장으로 발걸음을 옮겼습니다. 늦은 시간까지 한미FTA를 반대하는 많은 시민이 구호를 외치며 연대하고 계셨습니다.
대한민국 경찰은 국민의 비판에 물대포로 화답하더군요. 이것이 이명박 정부의 소통방식입니다. 체감온도 영하의 날씨에 물대포는 살인무기와 똑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위협에도 우리는 물러서지 않습니다.
시민을 흩으려고 경찰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비준무효 명박퇴진" 구호를 외치며 명동성당 방향으로 이동하는 시민이 늘어났고 우리의 저항은 밤늦도록 이어졌습니다. 오늘이 끝이 아닙니다. 우리는 또 모일 테니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