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생태계의 비밀을 이해하는 놀라운 여행

프랑스에서 가장 사랑받는 천체물리학자 위베르 리브스가 바다의 중요성을 알리는 책을 펴냈습니다. 전작인 《생물의 다양성》으로 지구의 모든 생명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을 알기 쉽게 설명해 주었던 저자가 《바다의 생태계》를 통해 지구의 미래가 바다에 달려 있다며 경각심을 일깨웁니다. 이 책은 지구의 오랜 역사 속에서 바다가 언제 생겨났는지, 바람과 해류가 지구의 기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인간이 쏟아낸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물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수중 생물의 다양성을 왜 우리가 보호해야 하는지 등을 그래픽노블 형식을 빌려 알기 쉽고 재미있게 설명해 줍니다. 

 

 

지구의 미래가 바다 생태계에 달려 있다

지구는 흙보다 물을 먼저 품고 있었습니다. 지구의 4분의 3을 뒤덮고 있는 바다 덕분에 지구라는 행성에 생명이 탄생할 수 있었습니다. 우주에서 촬영한 지구 사진은 대부분 푸른빛을 띱니다. 지름이 약 1만 2750킬로미터에 달하는 육지에 비교하면 평균 깊이가 3~4킬로미터에 불과한 바다의 존재는 미미한 수준입니다. 하지만 지구 생명체에 끼치는 바다의 영향력은 측정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바다는 40억 년 전에 형성되었고, 35억 년 전에 지구상에 출현한 첫 생명체들이 바로 물에서 나왔습니다. 플랑크톤과 같은 미생물의 사체가 가라앉아 오랜 시간 형성된 바닷속 지층이 물 밖으로 솟아오르면 멋진 해안 절벽이 형성됩니다.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는 대자연은 기나긴 시간이 축적된 결과입니다. 그중에서 특히 깊은 바닷속은 인류에게 미지의 영역이었습니다. 프랑스 소설가 쥘 베른은 1870년에 출판한 《해저 2만 리》라는 책을 통해 인류가 밝혀낸 바다에 관한 지식에 자유로운 상상력을 덧붙여 놀라운 바닷속 세계를 선물해 주었습니다.

우주를 탐사하는 첨단 과학의 시대지만, 길이가 1만 5000킬로미터나 되는 대서양 중앙 해령(海嶺)이 인도양 또는 태평양을 가로지르는 해령들과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은 최근의 일입니다. 해령은 대부분 휴화산의 산맥으로 이뤄져 있지만, 어떤 곳은 지금도 활발히 활동하는 활화산인 경우도 있습니다. 심해에서 활동 중인 화산 인근에 풍부하고 놀라운 동물상(動物相)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깊은 바다 세계는 사람이 견디기 어려운 환경입니다. 심해로 들어가면 1톤이 넘는 무게를 온몸으로 짊어지는 셈이어서 잠수정의 도움 없이는 탐사가 불가능합니다. 예전에는 몰랐던 다양한 동물들이 해구(海丘)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심해에 우리가 알지 못하는 수많은 생명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바다에는 다양한 해류(海流)가 존재합니다. 해류를 이용해 사람들은 바다를 항해했으며, 바닷물의 흐름을 타고 멀리 이동하는 동물들도 존재합니다. 해류가 형성되는 근본 원인은 바람과 물의 무게입니다. 바람은 수면에서 물을 밀어주고, 소금기가 있는 찬물은 따뜻한 물보다 비중이 크고 무거워 바닷속 깊이 가라앉습니다. 이런 원인에 의해 형성된 거대한 바닷물의 흐름은 지구의 기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칩니다. 같은 위도상에 있어 일조량이 비슷한 캐나다 몬트리올과 프랑스 보르도가 겨울철 기온에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멕시코만류의 영향 때문입니다. 벨기에와 프랑스가 온화한 기후를 누리는 것은 멕시코만류와 열대지방에서 오는 따뜻한 바람 덕분입니다.

이처럼 온전한 체계를 이룬 바다 속에서 수많은 생물이 다양한 관계를 이루며 살아가고 있으나 인간은 단지 수백 년 만에 ‘지구온난화’라는 큰 위기 상황으로 뭇 생명들을 몰아넣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쏟아낸 엄청난 양의 플라스틱 쓰레기 또한 바다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태평양의 거대 환류(還流)에서 프랑스 국토 면적의 6배나 되는 쓰레기 섬이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플라스틱은 아주 천천히 분해되기 때문에 해양 동물계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끔찍합니다. 거북이, 알바트로스, 흰고래, 돌고래 같은 동물들이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해서 삼켰다가 질식해서 죽는 경우가 많습니다.

위베르 리브스는 하늘의 별들로 향하던 시선을 거두고 오늘날 우리가 사는 별인 지구의 미래를 걱정하는 마음으로 생물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그래픽노블 시리즈를 펴내고 있습니다. 위베르 리브스와 함께 떠나는 수중 생태계 탐사를 통해 인류의 생존이 바다 생태계에 달려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될 것입니다.  
  

 

 

위베르 리브스
프랑스의 천체물리학자입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 고문으로 활동하였으며, 프랑스물리학회상과 아인슈타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16년에는 환경부장관에 의해 프랑스생명다양성기구의 명예회장으로 임명되었습니다. 같은 해, 손주들에게 들려주는 우주 이야기를 펴내어 출판계에서 성공을 거둔 뒤, 삽화가인 다니엘 카자나브와 협업으로 롱바르 출판사의 지식의 작은 만화가게 콜렉션 중 우주편을 출판하였습니다. 또한 지구의 미래를 생각하는 마음으로 생물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그래픽노블 시리즈 생물의 다양성, 바다의 생태계, 숲의 생태계를 출판하였습니다.

 

옮김 

문박엘리
서울에서 자라 학교를 다녔으며 대학 졸업 후 프랑스 파리에서 유학했습니다. 철학과 언어학을 공부했으며 일반회사와 시민사회단체에서 일했습니다. 인간과 자연과 우주 만물의 연계에 대해 관심이 많으며, 옮긴 책으로 프랑스 아이의 과학 공부, 생물의 다양성, 바다의 생태계, 숲의 생태계, 마우트하우젠의 사진사가 있습니다.

"세계 패권과 문명사의 대전환 시기에 동북아-유라시아 지역협력을 말하기"

21세기 국제 정세가 세계 질서의 구조적 변동으로 귀결될 심각한 전환기를 겪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미국 중심의 패권 체제가 내부 취약성과 중국의 거센 도전으로 흔들리면서 양국의 경제적, 군사적, 이념적 경쟁이 격화하고 있습니다. 양국의 경쟁과 긴장은 구조적인 역학 관계의 변화를 반영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도 쉽게 양보하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두 초강대국의 세계적 경쟁에서 길게 보면 시간은 중국 편이라고 보는 것이 현시점에서는 타당할 것입니다. 미국은 국내 경제력과 달러 패권의 균열, 극단적인 정치적 양극화 속에서 사회문제 해결에 무능한 정치 체제, 그리고 패권 유지 능력에서 세계 제국으로서 절정기를 지나고 정체기 내지 쇠퇴기에 접어들었습니다. 반면, 중국은 경제, 군사, 과학기술, 국내 시장, 국제적 자원 확보 등 거의 모든 부문에서 부상하면서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지에서 돌출하는 테러리즘, 인류 문명의 존립을 위협하는 단계에 이른 기후위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국제 정세에 존재감을 드러낸 러시아를 바라보는 세계 각국의 엇갈린 시선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어떻게 그려야 할지 숱한 과제를 남깁니다.  

국제 질서는 주요 정치 지도자와 지식인들, 심지어는 대중의 상상력과 과감한 이니셔티브로 거대한 물줄기가 바뀌기도 하는 사회적 구성물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현실의 정세가 어둡다고 좌절하거나 거기에 편승하려 하기보다 또 다른 미래에 대한 '의지의 낙관주의'를 견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20세기 전반기에 두 차례에 걸친 극단적 파괴를 경험한 유럽은 숱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여러 국경을 가로지르는 평화와 호혜의 협력 체제를 구축했습니다. 전후 단계적으로 통합을 추진하여 1993년 단일시장이 출범하면서 변방이던 접경지역은 다양한 형태의 초국경 협력의 장으로 거듭났습니다. 따라서 독일 통일, 유럽통합의 경험을 살피고 이해하는 일은 남북한 간 교류를 도모하고 동북아 초국경 협력의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세계 패권과 문명사의 대전환 시기에 한반도가 어디로 나아가야 할지를 모색하는 디딤돌이 될 것입니다. 

우리의 북방정책은 남북관계와 강대국 중심의 국제질서의 역동적 변화, 북방과의 연계에 따른 비용 및 기대이익의 변화에 따라 지속성과 안정성이 결정되었습니다. 대외 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북방정책의 추동력이 일시에 위축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북방정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이후 서방의 대러 제재하에서 신북방정책은 사실상 폐기되고 말았습니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유라시아 외교는 방치되거나 실종된 상태입니다. 미·중 전략 경쟁이 격화하고 미·러 관계가 최악으로 치닫는 현재의 국제·정치·경제 상황은 북방정책 추진을 제약하는 중대한 장애요인입니다. 그러나 우리는 지정학적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유라시아권과의 이해관계를 증진하고 상호신뢰를 축적할 다양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합니다. 

이 책은 프랑스에서 태동한 사회연대경제(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개념을 통해 조직과 영토를 초월하여 같은 가치와 철학, 운영 원리로 돌아가는 경제 생태계를 기반으로 대한민국이 나아갈 길을 모색합니다. 모든 생명은 이어져 있습니다. 사회연대경제를 통한 두만강 유역 초국경 협력은 지역과 지역을 잇고, 영토와 영토를 잇고, 민족과 민족을 잇는 다리가 되어줄 것입니다. 이 책은 동북아 주요 행위자인 한국, 북한, 중국, 러시아 등 각국의 지역협력 구상과 전략과 그 차이점을 파악하면서 이상적인 초국경 협력모델을 그려보는 계기가 되어줍니다.

 

엮은이

김창진 

성공회대학교 정치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국가와 제국,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연구, 동북아와 유라시아지역협력, 사회연대경제와 공동체 등이다. 주요 저작으로 《루소포비아: 러시아 혐오의 국제정치와 서구의 위선》(공역), 《퀘벡모델: 캐나다 퀘벡의 협동조합 사회경제 공공정책》, 《사회주의와 협동조합운동》, 《시베리아 예찬》, 《똘스또이와 함께한 날들》 등이 있다.

조성찬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중국과 북한의 토지제도, 사회연대경제에 기초한 초국경 협력, 동북아 평화체제, 기후위기 대응 등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 《중국의 토지개혁 경험》(공저), 《토지정의, 대한민국을 살린다》(공저), 《상생도시》, 《북한 토지개혁을 위한 공공토지임대론》 등이 있다.

 

지은이

김영찬  

한국은행 프랑크푸르트사무소장,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초청연구위원 등을 거쳐 인천대학교 통일통합연구원 객원연구원으로 있다. 경제·통화 통합이 주요 관심사이며 주요 저서로 《독일견문록》, 《독일통일 과정에서 독일 마르크화, 독일연방은행의 역할》, 《미완의 독일통일》(공저) 등이 있다.

김창진  

성공회대학교 정치학 전공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국가와 제국,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지역연구, 동북아와 유라시아지역협력, 사회연대경제와 공동체 등이다. 주요 저작으로 《루소포비아: 러시아 혐오의 국제정치와 서구의 위선》(공역), 《퀘벡모델: 캐나다 퀘벡의 협동조합 사회경제 공공정책》, 《사회주의와 협동조합운동》, 《시베리아 예찬》, 《똘스또이와 함께한 날들》 등이 있다. 

김현동  

연해주동북아 평화기금 이사장을 역임하고 현재 동북아식품협동조합 대표, (사)동북아평화연대 이사장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동북아 코리안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동북아와 유라시아의 평화협력이며, 구체적으로 연해주에서의 남·북·러 협력과 Non-GMO 유라시아생명농업이다. 주요 성과로 《기업별 노조의 벽을 넘어》(공저), 《중국 조선족 기초 자료집》(공저), 《연해주 고려인 농업정착지원사업과 남북러 삼각농업》, 《동아시아 시민사회를 지향하는 한국》(공저) 등이 있다.

리페이  

인천대학교 중국학술원 중국·화교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요 연구 주제는 중국 농촌사회의 변천 및 농촌사회 변천의 한·중 비교이다. 또한, 대안적 농촌 재건·재생운동(乡村重建/再生运动)의 한·중 간 교류 및 연대 가능성 모색에 관심이 있다. 주요 연구 성과로 《경독(耕读): 중국 촌락의 쇠퇴와 재건》(공저·공역), 《중국 운하에서 살아가기: 선민(船民)의 삶과 인지체계》(공역) 등이 있다. 

성원용  

인천대학교 동북아국제통상학부 러시아통상 주임교수이고, 러시아 경제, 유라시아 지정학 관련 과목을 강의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러시아 사회경제사상사, 체제전환경제, 동북아 초국경 협력, 유라시아 지정학과 국제운송회랑 등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 “푸틴주의와 러시아 국가자본주의: 역사적 기원과 현대적 변용”, “러시아 농업개혁의 패러독스: 개인부업농과 상품·화폐관계의 공존은 가능한가” 등의 논문과 《국제운송회랑의 새로운 지정학: 유라시아 실크로드 구축을 위한 협력방안 연구》(공저), 《북방에서 길을 찾다》(공저), 《유라시아를 향한 한국의 도전》(공저), 《유라시아경제연합: 지역통합의 현실과 전망》(공저) 등이 있다.

아쿨렌코 바딤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HK+접경인문학연구단 연구교수로 일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고려인 역사와 정체성, 한국민족기원설, 한-러 관계사, 북한 해외 파견 노동자 역사 등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 《Этногенез корейцев в работах учёных Южной и Северной Кореи(남-북한 과학자의 한국민족기원설)》, 《Региональная идентичность этнических корейцев российского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и Центральной Азии(러시아 극동 지역 및 중앙 아시아에 거주하는 고려인의 지역적 정체성)》(공저), 《Общественная география государств Корейского полуострова(한반도 국가들의 사회적 지리학)》(공저) 등이 있다.

윤석준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정치학 전공 및 동아시아연구소 교수이며, 한국국제정치학회 유럽연구분과위원장 및 한국유럽학회 연구이사를 맡고 있다. 프랑스 파리정치대학(시앙스포)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고, 서강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와 서울대학교 정치외교학부에서 유럽정치, 국제정치, 개발협력 분야를 연구 및 강의해 왔다. 주요 연구로 《공공외교의 이해》, 《유럽정치론》(공저), “EU-MENA의 지속가능한 녹색협력: 지중해연합(UfM)에서 인식 공동체의 역할을 중심으로” 등이 있다. 

조성찬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 원장으로 일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중국과 북한의 토지제도, 사회연대경제에 기초한 초국경 협력, 동북아 평화체제, 기후위기 대응 등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 《중국의 토지개혁 경험》(공저), 《토지정의, 대한민국을 살린다》(공저), 《상생도시》, 《북한 토지개혁을 위한 공공토지임대론》 등이 있다.

최문  

중국 연변대학교 경제관리학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동북아지역 경제협력과 국제무역이다. 주요 연구 성과로 《북한의 국가경제발전 5개년 계획 이행 및 전망》, 《朝鲜 ‘80 天战斗’: 背景、目标及展望》, 《朝鲜三池渊建设与中朝跨境旅游》 등이 있다.

 

차례

들어가며 | 세계 패권과 문명사의 대전환 시기 동북아-유라시아 지역협력을 말하기

1부 초국경 협력의 비전·전략·실제

1 동북아 국제정치와 유라시아협력체 지향: 연해주 접경지역 협력과 상호 신뢰의 축적을 향하여 
동북아 지역의 비대칭적 탈냉전
한국인들에게 북방대륙의 역사적 의의
연해주: 접경지역 협력의 초점
발상의 전환: 상호신뢰의 축적을 향하여

2 유럽의 접경지역에서 한반도의 미래를 보다
우리와 너무도 다른 유럽의 접경에서 
유럽 접경의 변화: 동서독 통일과 유럽의 통합 진전
유럽 접경지역에서의 협력 
무엇을 배울 것인가? 

3 유럽연합(EU)의 초국경 협력 정책: Interreg 정책의 수립 및 발전을 중심으로
들어가며
유럽 초국경 협력 정책의 태동
EU의 초국경 협력 Interreg
나오며

2부 동북아 지역과 두만강 유역 초국경 협력: 관점과 전략

4 지속 가능한 북방정책과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대유라시아 신외교 전략
북방정책의 정의
북방정책의 다층적 구조와 다중 벡터
북방정책의 정체성: 북방경제협력 구상인가, 아니면 지역전략인가?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 비전과 전략
신정부의 유라시아 외교: 쟁점과 전략의 문제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라시아 신외교 전략

5 러시아가 바라보는 태평양-두만강-북한: 유엔 광역두만강개발계획(GTI) 중심의 초국경 협력
들어가며
러시아가 바라보는 태평양
러시아가 바라보는 북한‐두만강
나오며

6 북한과 중국의 두만강 유역 개발정책과 남·북·중 협력방안에 대한 모색
들어가며
중국의 ‘일대일로’ 건설과 동북진흥정책
북한의 대외경제 정책과 두만강 유역의 주요 경제개발구
두만강지역개발에서의 남·북·중 협력방안의 모색 

3부 두만강 유역 초국경 협력과 사회연대경제 네트워크

7 사회연대경제(SSE)를 통한 두만강 유역 초국경 협력모델 탐색
들어가며
논의의 기초 
정체된 두만강 유역 개발계획
사회연대경제를 통한 유럽의 초국경 협력: 스위스 바젤(Basel)
사회연대경제가 주도하는 두만강 유역 초국경 협력 탐색
나오며

8 중국 및 한반도 접경지역 농촌합작사의 발전 현황과 한계
중국에서 ‘합작사’라는 용어의 유래
중국 농촌합작사의 발전 과정 및 현황
농촌합작사 발전의 한계
한반도 접경지역 합작사 발전 현황
중국 합작사 운동의 향후 과제: 자본화 문제의 해결방안 모색
나오며: 사회연대경제를 통한 초국경 협력에 주는 시사점

9 연해주를 기점으로 하는 초국경 사회연대경제 네트워크 사례
바리의 꿈
동북아 27년의 사계(四季)
한반도 먹거리와 연해주 농업
두만강 협력과 3국
코리안 디아스포라와 한반도

미주
참고문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