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재물/금주의 시(詩)

10월의 마지막 밤을 기다리며 읽는 시, 유하의 <당신>

by 생각비행 2012. 10. 29.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이제 곧 10월의 마지막 날이 옵니다. 그날이 되면 라디오에선 어김없이 가수 이용의 <잊혀진 계절>이란 노래가 하루에도 몇 번씩 전파를 탑니다. 그리고 그날 밤엔 무슨 까닭인지 술을 마셔야 한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진 그리움을 담은 노랫말 때문이겠지요. 

10월의 마지막 밤이 오는 길목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향한 마음을 노래한 유하의 시를 읽었습니다. 언어 기교가 뛰어나지만 그 때문에 무게감이 좀 떨어진다는 느낌을 주는 시인 유하, 하지만 그의 시에는 ‘끌림’이 있습니다. 아마도 최근 시인들이 쓴 시들이 읽기에 어려움이 있는 반면 시인 유하의 작품은 파격적인 면이 있으면서도 어렵지 않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당신

오늘밤 나는 비 맞는 여치처럼 고통스럽다
라고 쓰다가, 너무 엄살 같아서 지운다

하지만 고통이여, 무심한 대지에서 칭얼대는 억새풀
마침내 푸른빛을 얻어내듯, 내 엄살이 없었다면
넌 아마 날 알아보지도 못했을 것이다

열매의 엄살인 꽃봉오리와
내 삶의 엄살인 당신,

난 오늘밤, 우주의 거대한 엄살인 별빛을 보며
피마자는 왜 제 몸을 쥐어짜 기름이 되는지
호박잎은 왜 넓은 가슴인지를 생각한다

입술을 달싹여 무언가 말하려다,
이내 그만두는 밑둥만 남은 팽나무 하나

얼마나 많은 엄살의 강을 건넌 것일까

누군가를 사랑해본 사람이라면 공감할 것입니다. 지금 사랑하는 사람이 있는 사람이라면 충분히 공감할 것입니다. 연애가 쉽지 않다는 사실을, 아니 연애가 쉽다는 사실을, 아니 연애는 어렵지도 쉽지도 않다는 사실을 말입니다. 연애는 쉬울 수도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요즘 유행하는 말로 연애를 ‘밀당’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연애는 쉽다거나 어렵다거나 하는 말을 하기엔 뭔가 특별한 것이 있습니다. 연애는 바로 ‘사랑’을 사이에 둔 남녀의 관계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첫눈에 서로 반해서 사랑을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미워하는 감정 혹은 무관심에서 시작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랑을 키워 연애합니다.

“오늘밤 나는 비 맞는 여치처럼 고통스럽다 / 라고 쓰다가, 너무 엄살 같아서 지운다”는 내용을 보면 아마도 이 시의 시적 자아는 글을 쓰는 시인 자신인 것 같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아픔으로 ‘비 맞는 여치처럼’ 고통스럽다고 하다가 다시 지웁니다. 사랑의 슬픔은 일반적인 고통과 다르기 때문이지요. 그러다가 이내 시인은 “하지만 고통이여, 무심한 대지에서 칭얼대는 억새풀”이라고 다시 말합니다. 여치의 울음에서 억새풀이 부딪히며 내는 칭얼거림으로 소리의 확장에 따라 시인의 슬픔도 커집니다.
하지만 이러한 슬픔의 증폭은 사랑의 전술입니다. “마침내 푸른빛을 얻어내듯, 내 엄살이 없었다면 / 넌 아마 날 알아보지도 못했을 것이다”라는 표현을 보면 억새의 칭얼거림이 푸른 억새의 모습을 완성하듯 시인의 엄살은 사랑하는 ‘당신’에게 자신을 각인시키는 작업입니다. 그리고 이 작업은 성공했습니다.  비 맞은 여치 같은, 억새의 칭얼거림 같은 시인의 모습은 시인을 알아보게 했으니까요.

사실 시인 유하는 이렇게 얘기한 적이 있습니다.

“보통 연애가 잘 안 풀리는 건, 에고라는 함정에 빠지기 때문이에요. 우린 대개 상대방에 집중하기보단, 자기 자신에 더 관심이 가 있기 일쑤이지요. 물론 상대방을 사랑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정작 스스로를 더 사랑한다는 점이 문제예요. 바로 그 때문에 어깨에 힘이 들어가고, 무리한 행동이 돌출할 수밖에 없는 것이구요”
― 진이정 발문, <유하, 오래 오래 뒤돌아보는>, 《세상의 모든 저녁》 중에서

이 말은 젊은 나이의 유하, 아니 김병준이라는 본명을 가진 평범한 남성이 친한 선배인 진이정에게 한 말입니다. 시인은 자잘한 연애 경험을 많이 한 사람이고 그래서 실연도 많이 한 사람입니다. 많은 연애 경험으로 “상대방을 사랑하는 것도 사실이지만, 정작 스스로를 더 사랑한다는 점”이 연애가 안 풀리는 이유라는 결론까지 내립니다.

하지만 <당신>이란 시에서 이러한 깨달음은 무의미합니다. 자신의 고통스러운 엄살로 사랑하는 이에게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으니까요. “열매의 엄살인 꽃봉오리와 / 내 삶의 엄살인 당신,”이란 표현을 보면 ‘엄살이 사랑의 대상, 가장 중요한 삶 자체’가 됩니다. 꽃이 피면 열매를 맺지만 꽃은 곧 떨어지겠지요. 꽃이 시들어가면 열매는 익어갑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지요. “열매의 엄살인 꽃봉오리”에서 바로 이어지는 “내 삶의 엄살인 당신”을 위해 시적 자아는 희생할 수도 혹은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유부단한 시인은 “난 오늘밤, 우주의 거대한 엄살인 별빛을 보며 / 피마자는 왜 제 몸을 쥐어짜 기름이 되는지 / 호박잎은 왜 넓은 가슴인지를 생각한다”에서 보이듯이 고민에 빠지고 맙니다. 연애가 잘 안 풀리는 이유가 ‘상대방을 사랑하기보다 스스로를 더 사랑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에 자신을 더 사랑했던 시인은 더욱 고민에 빠집니다. 우주가 별빛을 내기 위해 어둠으로 희생하는 것을 보며, 자신을 쥐어짜 기름을 만드는 피마자를 생각하고 호박꽃이 호박을 위해 희생하는 것을 지켜보며 이 둘의 사랑을 감싸주는 넓은 가슴을 가진 호박잎을 생각합니다. 아마도 시인은 ‘당신’에게 보내는 엄살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채고 고민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때문인지 “입술을 달싹여 무언가 말하려다, / 이내 그만두는 밑둥만 남은 팽나무 하나”처럼 무엇인가를 말하려 하면서도 ‘당신’에게 아무 말도 하지 못합니다. 아마도 시인이 더 줄 수 있는 것이 없기 때문에 아무 말을 하지 못하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가지도, 잎사귀도, 몸통도 모두 주고 이제 겨우 밑둥만 남았으니까요.

그러면서 “얼마나 많은 엄살의 강을 건넌 것일까” 하고 회상하면서 지나온 시간 동안 사랑했던 ‘당신’과 ‘당신’들을 떠올립니다. 많은 연애는  동시에 많은 실연을 동반합니다. 이러한 반복적인 경험도 연애의 기쁨과 아픔을 완벽하게 소화하지는 못합니다. 다만 다음 사랑을 만나기 위한 초석이 될 뿐입니다. “시인의 간절한 비원이 담긴 그 시집도 목석 같은 그녀의 마음을 돌리기엔 역부족이었다. 그 결과 잃은 것은 사랑이요, 얻은 건 시집이었으니”라고 진이정은 유하의 실연을 대신 발문에서 고백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이 사랑과 실연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반복 속에서 상처는 경험이 되고 경험은 더 많은 사랑을 위한 밑거름이 됩니다. 사랑의 결과를 딱히 무어라고 말할 수 없지만, 서로의 방식대로 행복해지는 방법을 찾을 수는 있을 겁니다. 사랑하는 이의 행복을 위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생각하면서 10월의 마지막 밤을 준비하는 건 어떠신지요? 혹은 흘러간 사랑을 생각하며 추억에 잠겨 보내는 시간도 그리 나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유하

영화감독이자 시인으로 본명은 김병준이다. 1963년 전북 고창군 상하면 하나대 마을에서 출생하여 세종대 영문과와 동국대 대학원 영화과를 졸업했다. 1988년 《문예중앙》 신인문학상 공모에 당선하면서 시단에 나왔다. 시집으로는 《무림일기》《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세상의 모든 저녁》《세운상가 키드의 사랑》《나의 사랑은 나비처럼 가벼웠다》 등이 있으며 산문집으로 《이소룡 세대에 바친다》《재즈를 재미있게 듣는 법》 등이 있다. 그는 1990년 영화 < 시인 구보씨의 하루>로 영화감독으로 데뷔했으며 연출한 작품으로는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하울링><쌍화점><비열한 거리> 등이 있다. 1996년 《세운상가 키드의 사랑》으로 제15회 김수영문학상을 받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