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가을비가 마치 장맛비처럼 내리는 아침입니다. 이 비가 그치고 나면 아침저녁으로 기온 차가 더 심해지겠지요. 날씨가 추워질수록 사람의 온기가 그립습니다. 지난 추억으로 지나간 사람이든, 지금 만나는 사람이든, 함께 이야기할 사람이 그립습니다. 산이 갈색으로 물들고 거리에 플라타너스 잎이 말라 떨어지는 때면 사람이 더욱 그립습니다. 옷을 두껍게 입을수록, 체온의 소중함을 느낄수록 사람에 대한 그리움이 커지는 것은 인지상정이 아닐까 싶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이라도 있다면, 아무리 가까운 곳에 있어도 마음의 그리움이 사뭇 커지는 계절입니다.

너를 기다리는 동안

네가 오기로 한 그 자리에
내가 미리가 너를 기다리는 동안
다가오는 모든 발자국은
내 가슴에 쿵쿵거린다
바스락거리는 나뭇잎 하나도 다 내게 온다
기다려본 적이 있는 사람은 안다
세상에서 기다리는 일처럼 가슴 애리는 일 있을까
네가 오기로 한 그 자리, 내가 미리 와 있는 이곳에서
문을 열고 들어오는 모든 사람이
너였다가
너였다가, 너일 것이었다가
다시 문이 닫힌다
사랑하는 이여
오지 않는 너를 기다리며
마침내 나는 너에게 간다
아주 먼 데서 나는 너에게 가고
아주 오랜 세월을 다하여 너는 지금 오고 있다
아주 먼 데서 지금도 천천히 오고 있는 너를
너를 기다리는 동안 나도 가고 있다
남들이 열고 들어오는 문을 통해
내 가슴에 쿵쿵거리는 모든 발자국 따라
너를 기다리는 동안 나는 너에게 가고 있다.

사람을 그리워하고 사랑하는 일은 삶의 가장 큰 부분 중 하나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기 위해 기다리는 일은 행복입니다. 약속한 장소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는 일은 즐거움입니다. 황지우 시인의 얘기처럼 사랑하는 사람을 약속 장소에서 기다려본 사람은 압니다. 그 사람이 남자이든 여자이든 누군가를 기다리는 건 설레는 일입니다.

“네가 오기로 한 그 자리에 / 내가 미리가 너를 기다리는 동안 / 다가오는 모든 발자국은 / 내 가슴에 쿵쿵거린다 / 바스락거리는 나뭇잎 하나도 다 내게 온다” 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시적 화자는 약속 장소에 먼저 나가 기다립니다. 약속 장소로 다가오는 모든 발걸음 소리가 기다리는 대상으로 느껴져 가슴이 떨립니다. 바람에 흩날려 거리에서 바스락거리는 낙엽소리도 예사롭지 않습니다. 이러한 느낌은 “기다려본 적이 있는 사람은 안다”처럼 경험해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감정입니다. 바로 설레는 마음이죠.

약속 시간이 다가올수록 “세상에서 기다리는 일처럼 가슴 애리는 일 있을까” 라는 시인의 표현처럼 가슴이 답답해집니다. 시간은 점점 가까워집니다. 오기로 약속한 대상을 시적 화자가 기다립니다. 누군가 문을 열면 그 사람일까 기대합니다. 한 사람 또 한 사람 들어올 때마다 “너였다가 / 너였다가 / 너였다가, 너일 것이었다가”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기다리는 사람은 오지 않고 이내 문이 닫힙니다. 기다림의 기대가 무너질 때 설렘은 아픔으로 바뀝니다.
 
그러다 시적 화자의 마음이 “사랑하는 이여”라는 부분에서 바뀝니다. 수동적으로 더 기다리지 않고 기다리는 사람의 마음이 사랑하는 사람을 찾아갑니다. “오지 않는 너를 기다리며 / 마침내 나는 너에게 간다”는 반어적 표현에서 시적 화자의 의지를 느낄 수 있습니다. 기다리는 사람이 약속 장소를 떠나 사랑하는 사람을 찾아가는 행위가 현실에서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기다리는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며 지난 시간 속으로, 지난 추억 속으로 그 사람을 찾아갑니다. 기다림의 시간이 길어질수록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하는 시간과 추억으로 가는 시간도 길어집니다.

마침내 추억의 시간이 기대의 시간으로 다시 바뀝니다. “아주 먼 데서 나는 너에게 가고 / 아주 오랜 세월을 다하여 너는 지금 오고 있다”라는 표현에서 느낄 수 있듯, '설렘'에서 '애림'으로 바뀌었던 시적 화자의 심경이 다시 '기대감'으로 변화합니다. 이제는 기다리는 시간이 크게 상관없습니다. “아주 먼 데서 지금도 천천히 오고 있는 너를 / 너를 기다리는 동안 나도 가고 있다”처럼 그 사람을 향해 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시적 화자가 다가가는 만큼 기다리는 대상도 다가오고 있습니다. 

어느새 기다리는 행위가 만나러 가는 행위와 같아집니다. 가슴의 쿵쿵거림은 사랑하는 이를 향한 설렘으로 더욱 커집니다. “남들이 열고 들어오는 문을 통해 / 내 가슴에 쿵쿵거리는 모든 발자국 따라 / 너를 기다리는 동안 나는 너에게 가고 있다”는 표현처럼 그동안 마냥 기다리던 수동적 행위가 이제는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러 가는 능동적 행위로 변했기 때문입니다.  

쿵쿵거리는 가슴으로 여러분을 기다리는 사람이 있습니까? 아니면 쿵쿵거리는 가슴으로 기다리는 누군가가 있습니까? 누군가를 기다리는 시간만큼 설레고, 애리고, 다시 설레는 감정의 변화를 느낄 수 있는 순간은 없겠지요. 깊어가는 가을, 연필로 꾹꾹 눌러 편지를 쓰시기 바랍니다. 앞서 소개한 시인의 마음처럼 '기다림'의 행위를 '만나러 가는 행위'로 바꾸어줄 소중한 도구가 될 테니까요.

황지우

1952년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광주일고를 거쳐 서울대 인문대 미학과를 졸업했다. 1980년 《중앙일보》 신춘문예에 <연혁(沿革)>이 입선하고, 《문학과지성》에 <대답 없는 날들을 위하여> 등을 발표하며 시단에 등장했다. 하우저의《예술사의 철학》 등을 번역하며 《시와 경제》 동인으로도 참가했다. 
첫 시집이자 제3회 김수영 문학상 수상작,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는 전통적 시 관념을 부수면서 기호, 만화, 사진, 다양한 서체 등을 사용하여 풍자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또한 《나는 너다》에는 화엄(華嚴)과 마르크스주의적 시가 들어 있는데, 이는 스님인 형과 노동운동가인 동생에게 바치는 헌시다. 
다른 예술에도 관심이 많아 1995년에 아마추어 진흙조각전을 열기도 하고, 미술이나 연극의 평론을 쓰기도 했다. 1991년 현대문학상 수상작인 《게눈 속의 연꽃》은 초월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노래했으며, 《어느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는 생의 회한을 가득 담은 시로 대중가사와 같은 묘미를 느낄 수 있는 시집이다. 여기에 실린 <뼈아픈 후회>로 김소월문학상을 받았고, 같은 시집으로 제1회 백석문학상을 받았다.
시집으로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나는 너다》《게눈 속의 연꽃》《저물면서 빛나는 바다》《어느 날 나는 흐린 酒店에 앉아 있을 거다》 등이 있다.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8월 말에 찾아온 태풍 '볼라벤'과 '덴빈'을 보면서 대자연 앞에서 인간이 얼마나 초라한 존재인지 다시 한 번 느꼈습니다. 태풍으로 큰 피해를 입은 분들이 하루빨리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삶의 터전이 잘 복구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무더위로 힘겨웠던 여름이 지나고 어느덧 아침저녁으로 가을 날씨를 느낄 수 있습니다. 이맘때 많은 사람이 '가을을 탄다'는 말을 자주 하곤 합니다. 이는 아마도 잊지 못한 추억을 저마다 마음 한자리에 남겨둔 까닭이 아닐까 싶습니다. 가을은 사랑과 이별의 추억으로 시작하여 붉게 물든 단풍이 마른 나뭇잎이 되어 거리를 채울 때 그리움과 아쉬움으로 끝을 맺는 짧고도 긴 계절입니다.

오늘은 가을로 접어드는 길목에서 이별을 노래하고 있지만 결코 사랑하는 임을 떠나보낼 수 없다는 심정을 노래하는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소개하겠습니다.

1925년 출간된 시집

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 없이 고이보내 드리우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2008년 11월 15일 KBS 1TV가 한국 현대시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여 <시인만세>라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면서 대국민 설문조사를 시행한 결과 우리나라 국민은 김소월의 <진달래꽃>을 가장 좋아한다는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기사보기) 김소월의 <진달래꽃>이 한국적인 정서를 그만큼 잘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한국적'이라는 의미는 형식적으로 3음보의 전통적 리듬에 내용적으로 이별의 아쉬움과 슬픔의 정서를 담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김소월은 <접동새><초혼><엄마야 누나야><산유화> 등의 시에서 나타나듯이 민요시 형식에 고통과 슬픔의 정서를 담아 우리 민족의 삶을 표현했습니다. 1920년대 한국 시단을 휩쓴 낭만주의 시의 한 특징으로 민요시가 성행했다는 점에서 김소월도 그 영향에서 자유롭지는 않았겠지요. 하지만 이론적으로 낭만주를 소개하는 데 큰 역할을 한 김억이나 주요한의 작품들보다 김소월의 민요시를 훨씬 뛰어나다고 평가합니다. 김소월 시에 깔린 고통과 슬픔의 정조를 개인의 성향 탓으로 여길 수도 있겠지만, 식민지 상황에서 전 국민이 느낀 고통, 슬픔, 분노의 감정과 떼려야 뗄 수 없겠지요. 이러한 정서는 민족 고유의 전통과도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살어리 살어리 랏다” “가시리 가시리 잇고” 같은 민요나 고려가요를 보면 3음보는 다분히 한국적인 리듬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별에 대한 아쉬움이나 슬픔의 정서는 고조선의 노래로 알려진 <공무도하가>, 유리왕이 지었다는 <황조가>, 고려가요 <가시리><서경별곡>, 민요 <아리랑>, 정지상의 한시 <송인> 등에 잘 나타나는 민족적 정서입니다. 이처럼 <진달래꽃>은 형식과  내용 면에서 가장 한국적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애송하는 시가 된 것이겠지요.

그러면서도 <진달래꽃>이 노래하는 이별의 정서는 이전 시가와는 사뭇 다릅니다. 떠나는 대상에 대한 애절함이야 <공무도하가><황조가><가시리><아리랑>과 같지만 떠나보내는 방식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공무도하가>는 “當奈公何 (당내공하, 떠나셔서 어이할꼬”로, <황조가>는 “誰其與歸(수기여귀, 누구와 함께 돌아가리)”로 떠난 대상에 대한 아쉬움과 상실의 슬픔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가시리>는 “가시는 듯 돌아오소서 나는(가시는 즉시 돌아오소서)”라는 바람을, <아리랑>은 “십리(十里)도 못 가서 발병난다”며 떠나는 대상을 향한 애원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시인 김소월은 <진달래꽃>에 “나 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라며 상실과 슬픔, 바람과 애원을 넘어서는 비장함을 표현해놓았습니다. 처음에는 “말 없이 고이보내”줄 것 같지만 가려거든 나를 “사뿐히 즈려 밟고” 가라고 위협하면서 그래도 가겠다면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라며 사랑하는 대상을 떠나보낼 수 없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런 비장함 때문에 <진달래꽃>의 임을 시대적 상황에 비추어 조국으로 해석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싶네요.

가을은 봄보다 빨리 지나갑니다. 하지만 어떤 계절보다 긴 여운을 내포하고 있는 계절이기도 하지요. 단순한 감상에 젖어 ‘가을 탄다’며 하루하루 보내기보다는 옛 추억의 장소를 찾아가거나 전에 읽었던 책을 다시 꺼내어 읽으며 기억 저편에 묻어둔 '사랑'과 '열정'을 다시 느껴보시는 건 어떨까요?

김소월

본명은 정식이며 1902년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났다. 오산학교에서 조만식 선생과 평생의 스승 김억을 만났다. 1920년 동인지 《창조》 5호에 처음으로 시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3·1 운동으로 오산학교가 문을 닫자 배재고보 5학년에 편입해 졸업했다. 1923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상업대학교에 입학했으나 9월에 발생한 관동대지진으로 중퇴하고 귀국했다. 그 후 고향에서 조부가 경영하는 광산을 도왔으나 실패하여 처가인 구성군에 《동아일보》 지국을 차렸지만 이마저 실패하는 바람에 극도의 빈곤에 시달렸다. 사업 실패로 정신적으로 큰 타격을 받아 술로 세월을 보내다 1934년에 33세의 나이로 죽었다(자살했다는 설도 있다). 사후 43년 만인 1977년 그의 시작 노트가 발견되었는데, 여기에 실린 시 중에 스승 김억의 시로 이미 발표된 것들이 있어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저서로는 1925년 낸 시집 《진달래꽃》이 유일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