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12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사태를 '세계적 대유행(팬데믹)'으로 공식 규정했습니다. 팬데믹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이 동시에 감염되어 전 지구적으로 전염병이 대유행하는 상태를 뜻합니다. 그동안 WHO는 코로나19 사태를 팬데믹으로 명명하길 주저했습니다. WHO 사무총장은 우려스러울 정도로 대책이 이뤄지지 않아 이제 이 표현을 사용한다고 말했습니다. 이탈리아를 포함한 유럽 전 지역과 미국까지 중국 밖 확진자 수가 지난 2주 사이에 13배나 급증했기 때문입니다.
코로나19 초반 상황 때 중국인을 비롯한 아시아인들을 일방적으로 차별하던 유럽 국가들은 오히려 한국, 대만 등 아시아 국가들보다 미흡한 대처로 코로나19를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국가들처럼 코로나19 확산에 사실상 백기를 든 나라들마저 나오기도 했으며 이탈리아처럼 전 국민 이동 금지라는 초법적인 수단까지 쓰는 나라가 발생하면서, 소위 선진국이라는 나라들이 코로나19에 대처하지 못하며 우왕좌왕하는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출처 - 한겨레
WHO가 마지막으로 팬데믹을 선언한 건 2009년 신종플루 때였습니다. 당시 처음 겪는 감염병으로 수십만 명이 사망했죠. 바이러스가 신종이고 사람에게 쉽게 전염되며 (바이러스의 입장에서) 효과적이고 지속적으로 전파된다는 점에서 코로나19는 팬데믹의 모든 조건을 충족시킵니다. 백신 같은 확실한 예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보니 확산 차단이 무엇보다 중요한 대처 방법입니다. 현재까지 114개국에서 11만 8000여 명이 확진자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출처 - 연합뉴스
우리나라는 WHO가 팬데믹을 선언했으나 우리의 방역 조치가 달라지는 부분은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감염병 위기단계를 이미 심각단계까지 올리면서 선제적인 조치들을 취해왔기 때문입니다. 그간 우리가 해온 조치들을 계속 이어가면 된다는 겁니다. 코로나19가 전 세계적 대유행으로 번지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선제적인 조치를 하며 코로나19 확산세가 점차 누그러지는 추세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구, 경북 등 확진자가 많은 지역과 최근 서울 구로구 콜센터에서 발생한 코로나19 집단 감염 사태처럼 불확정 요소가 여전히 상존하기 때문에 마음을 놓을 상황은 결코 아닙니다. 이러할 때는 집단적 공포에 휩쓸리지 않는 합리적이고 지속적인 방역 노력이 중요합니다.
출처 - 연합뉴스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에서 주요한 행사들이 속속 취소되고 있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일본에서는 도쿄 올림픽을 정상적으로 치를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WHO가 팬데믹을 공식 선언한 이상 도쿄 올림픽을 그대로 진행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졌다고 봐야 하기 때문입니다. 아베 정부는 여전히 예정대로 개최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조직위 내에서는 1~2년 연기하는 게 현실적이라는 발언도 나오고 있죠. 아베 정권이 사활을 걸고 추진한 올림픽이므로 아예 취소하거나 무관중 경기로 강행한다면 경제적 충격은 물론 정권 자체가 붕괴할지 모르는 상황인 만큼 울며 겨자 먹기식이지만 연기라도 하자는 거죠. 하지만 다른 한쪽에서는 연기를 하면 1~2년 동안 올림픽 시설물 관리에 들어가는 천문학적인 비용이 추가로 발생하기 때문에 경제적 충격이 더 심해진다는 주장도 있어서 아베 정권은 진퇴양난에 빠졌습니다. 여기에 더해 그간 코로나19 상황을 숨기기 급급했던 졸속 대응, 믿을 수 없는 통계, 비이성적인 각종 조처로 인해 일본 국민들은 아베 정권을 불신하고 있습니다.
출처 - 이투데이
WHO가 팬데믹을 공식 선언함으로써 코로나19 사태는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됐습니다. 팬데믹이 선언된 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464.94포인트(5.86%) 폭락한 23,553.22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은 140.85포인트(4.89%) 추락한 2,741.38, 나스닥은 392.20포인트(4.7%) 떨어진 7,952.05에 장을 마감했다고 하죠. 다우지수는 종가 기준으로 지난 2월 12일 기록한 사상 최고치에서 20% 이상 폭락했습니다. 주가가 최근 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면 추세 하락을 의미하는 약세장에 진입한 것으로 봅니다. 2009년 이후 약 11년간 이어진 장기 강세장이 마침내 막을 내린 셈입니다. S&P 500 지수와 나스닥도 종가 기준 약세장 진입이 코앞이라고 외신이 전하고 있습니다.
출처 - AFP 연합뉴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긴급 기자회견을 했지만 시장의 극심한 공포를 잠재우지는 못했습니다. 미국의 유럽발 입국금지 소식이 전해지면서 프랑스와 독일의 증시도 휘청겨렸습니다. 프랑스 CAC 40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5.69% 하락한 4347.94, 독일 DAX 30 지수는 5.72% 내린 9841.90을 나타냈다고 하죠. 범유럽지수인 유로 Stoxx 50 지수 역시 5.58% 급락한 2743.29로 내려앉았습니다. 이런 유럽 증시 급락세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투자 심리가 급격하게 위축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됩니다.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하는 팬데믹 조짐을 보이는 동안 글로벌 금융시장에 불안 심리가 급속히 퍼지며 엔화에 견준 원화 환율이 6년여 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국제금융시장도 출렁였습니다.
출처 - 연합뉴스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경제 주체들의 위험회피 심리가 되살아나고 있는 것입니다. 글로벌 금융시장이 출렁이고 있는 만큼 당분간 원·달러 환율도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환율의 세계는 탐욕과 공포의 전쟁터와 같습니다. '국제금융거래의 안정화를 통한 글로벌 경제발전'이라는 그럴듯한 명분을 내세우지만, 그 뒤에는 자국의 이익을 극대화하려는 실리가 숨어 있지요. 환율 세계는 손익을 다투는 전투가 벌어지며, 각국의 주체들은 매일 벌어지는 전투에서 이익을 취하려는 의도를 숨김없이 드러냅니다. 환율 변화가 우리 삶에 끼치는 영향은 엄청납니다. 하지만 전문가들도 환율 예측을 어려워합니다. 세계 각국의 경제뿐만 아니라 정치, 군사, 사회 현상 등도 환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죠.
《환율은 어떻게 움직이는가?》의 저자는 경제 문제를 넘어 이룩해야 할 우리 사회의 과제를 생각해보자고 말합니다. 단순한 구호를 배격하는 치밀한 전략과 실행, 배타주의를 물리치는 개방적인 포용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미래 환율을 예측하는 작업은 지나온 대한민국의 발자취를 통해 본 역사의 발전과 관련되어 있다고 말합니다. 환율 예측은 또한 '대한민국 국민의 저력을 믿느냐' 하는 철학과도 관련되어 있습니다.
출처 - 경향신문
외신은 우리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높이 평가하고 있습니다. 우리 정부는 팬데믹 상황에 대응하며 일부 유럽국가 방문·체류 입국자를 대상으로 15일 0시를 기해 특별입국 절차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가 세계적으로 대유행하는 상황이라 이제는 우리나라만 잘한다고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게 되었습니다. 정부는 시시각각 변하는 상황에 더욱 긴밀하게 대응해야 하고, 국민은 정부를 믿으면서 인종차별과 사회 단절, 경제 침체 등 코로나19가 야기한 각종 후폭풍에 대응해나가야 합니다. 지나친 낙관이나 지나친 비관을 지양하고 우리의 소중한 일상을 이끌어나가는 자세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