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충일3

친일부역자를 현충원에 그대로 둬도 괜찮은가? 지난 6일 현충일을 앞두고 국립현충원에 있는 친일행위자의 묘를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한다는 여론이 주목받았습니다. 군인권센터는 현충원에 현재 친일 군인 56명이 묻혀 있다면서 지난 4일 파묘와 이장을 요구했습니다. 일본제국의 식민통치와 침략전쟁에 부역한 군인들이 현충원에 묻혀 있는 건 국가적 모욕이라는 겁니다. 출처 - 연합뉴스 《친일인명사전》에 따라 지난 4일 발표된 친일 군인은 박정희를 비롯해 국무총리였던 김정렬, 정일권, 국방부장관이었던 신태영, 유재흥, 이종찬, 임충식 등 56명에 달합니다. 이 중 32명은 국립서울현충원에, 24명은 국립대전현충원에 묻혀 있습니다. 출처 - 경향신문 박정희가 일본 육사 출신으로 만주군 소속 중위로 부역한 사실은 잘 알려져 있죠. 국무총리였던 김정렬, 정일권 역시 일.. 2020. 6. 9.
일본 경제보복 시국에 생각하는 약산 김원봉 호국보훈의 달이었던 지난 6월 뜬금없이 약산 김원봉이 논란의 중심에 있었습니다. 제64회 현충일 추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한 추념사 원고가 제공되자 언론은 일제히 "애국 앞에 보수와 진보가 없다"는 부분에 주목했습니다. 김원봉을 언급한 내용은 '민족의 독립운동역량이 집결한 광복군이 국군 창설의 뿌리가 됐고, 광복 전 미국 전략정보국과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했던 것이 한미동맹의 토대가 됐다'는 것일 뿐 김원봉에 대한 재평가나 서훈에 대한 내용은 없었습니다.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오히려 보수에 가까운 추념사 내용이었죠. 출처 - 청와대 정상적으로 글을 읽고 의사소통을 할 줄 아는 사람이라면 대통령의 추념사는 현충일을 맞이하여 우리 군의 모체여야 할 광복군의 한 사례로 김원봉의 조선의용대를 제시한 것으로 받아.. 2019. 7. 11.
현충원 적폐 청산, 친일파와 독재자의 묘 퇴출하라 매년 돌아오는 호국 보훈의 달 6월, 모처럼 제대로 된 현충일 추념식이 거행되었습니다.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열린 현충일 추념식에 참석한 문재인 대통령 곁을, 이전 정권에 늘 앉아 있던 4부 요인들 대신 원래 그 자리에 앉아 마땅한 분들이 함께했기 때문입니다. 목함 지뢰 사건으로 발을 잃은 김정원, 하재헌 중사를 비롯해 국가유공자인 박용규 씨와 아들 박종철 씨가 그 주인공들입니다. 목함 지뢰 사건으로 부상한 개개인에게 돌아갔어야 할 돈을 빼돌려 흉물스러운 발 동상을 세웠던 지난 박근혜 정부와 달리 '사람이 먼저'인 상식적인 대우를 하는 모습을 보게 되어 다행입니다. 출처 -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현충일 추념사를 통해 "애국의 역사를 통치에 이용한 불행한 과거를 반복하지 않겠"다면서 "전쟁의 후유증을 치유.. 2017.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