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재물/금주의 시(詩)

그리움이 남겨진 거리, 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by 생각비행 2012. 7. 4.

안녕하세요. 생각비행입니다. 말랐던 땅에 촉촉이 비가 내렸습니다. 답답했던 마음도 조금은 풀리는 듯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비 한 방울이 절실한 실정입니다. 말로만 상생을 외치는 대기업과 정치권의 외침 속에서 중소기업과 서민의 삶은 언론조차 외면하고 있습니다. 세상을 바꾸겠다며 혁명을 외치던 세대는 지금 어디에 있는 걸까요? 가끔 4.19 혁명 때, 1980년대 민주화운동 때, 군사정권 이후에 왜 이 사회를 바르게 바꾸지 못했는지 원망스러운 마음도 듭니다.

젊은 날 답답한 현실 속에서 미래를 이야기하며 무엇인가 바꿀 수 있으리라고 믿었던 이들은 지금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4.19 혁명 시대와 1980년대 민주화운동 시절에 거리를 메웠던 이들은 지금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일까요? 먹고살기에 팍팍한 일상을 하루하루 견디는 기성세대가 되어 지금 현실을 더욱 목마르게 만들고 있지는 않은지요? 이러한 원망은 곧 '나'를 향하는 화살이 되어 비수처럼 가슴을 찌릅니다. 세상을 향해 큰소리 한번 치지 못하는 나를 향해 날아옵니다.

김광규의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는 이런 '나'에게 "부끄럽지 않은가/부끄럽지 않은가"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20대의 순수함와 열정은 어디로 갔는지 혁명을 두려워하고 변화를 두려워하는 나이가 되어 현실을 외면하는 '나'를 보게 합니다.  이  시를 읽고 있으면 미래를 꿈꾸기보다 노후를 걱정하고 변화를 바라기보다 개인의 안녕만 바라는 부끄러운 일상을 돌아보게 됩니다. 남은 시간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다시금 생각하게 합니다. 나이보다 생각이 더 늙어버린 것은 아닌지, 건방지게 세상을 다 안다는 듯이 살고 있지는 않은지,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서 세상을 향해 욕만 하는 것은 아닌지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를 읽으며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고 다짐해봅니다.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4·19가 나던 해 세밑
우리는 오후 다섯시에 만나
반갑게 악수를 나누고
불도 없이 차가운 방에 앉아
하얀 입김을 붐으며
열띤 토론을 벌였다
어리석게도 우리는 무엇인가를
정치와는 전혀 관계 없는 무엇인가를
위해서 살리라 믿었던 것이다
결론 없는 모임을 끝낸 밤
혜화동 로우터리에서 대포를 마시며
사랑과 아르바이트와 병역 문제 때문에
우리는 때묻지 않은 고민을 했고
아무도 귀기울이지 않는 노래를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노래를
저마다 목철껏 불렀다
돈을 받지 않고 부르는 노래는
겨울밤 하늘로 올라가
별똥별이 되어 떨어졌다
그로부터 18년 오랜만에
우리는 모두 무엇인가 되어
혁명이 두려운 세대가 되어
넥타이를 매고 다시 모였다
회비를 만원씩 걷고
처자식들의 안부를 나누고
월급이 얼마인가 서로 물었다
치솟는 물가를 걱정하며
즐겁게 세상을 개탄하고
익숙하게 목소리를 낮추어
떠도는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모두가 살기 위해 살고 있었다
아무도 이젠 노래를 부르지 않았다
적잖은 술과 비싼 안주를 남긴 채
우리는 달라진 전화 번호를 적고 헤어졌다
몇이서는 포우커를 하러 갔고
몇이서는 춤을 추러 갔고
몇이서는 허전하게 동숭동 길을 걸었다
돌돌 말은 달력을 소중하게 옆에 끼고
오랜 방황 끝에 되돌아온 곳
우리의 옛사랑이 피흘린 곳에
낯선 건물들 수상하게 들어섰고
플라타너스 가로수들은 여전히 제자리에 서서
아직도 남아 있는 몇 개의 마른잎 흔들며
우리는 고개를 떨구게 했다
부끄럽지 않은가
부끄럽지 않은가
바람의 속삭임 귓전으로 흘리며
우리는 짐짓 중년기의 건강을 이야기했고
또 한 발짝 깊숙이 늪으로 발을 옮겼다

김광규 시인의 가장 큰 특징은 '일상어'를 구사했다는 점입니다. 우리가 평소에 말하는 언어를 그대로 시로 옮겨 표현하기 때문에 뜻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 역시 일상적 언어를 사용하고 특별한 비유법을 쓰지 않아 편하게 읽을 수 있고 시에 몰입할 수 있습니다. 이 시를 읽고 있으면 순수했던 젊은 날의 기억과 현실에서 타협하는 지금 나 자신의 모습이 머릿속에서 겹칩니다. 그렇기에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게 되는 것이겠지요. 

시는 보이는 표현도 중요하지만 읽으면서 느끼는 내면의 일렁임이 있을 때 참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시는 시간이 지나도 많은 사람에게 감동을 줍니다.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는 1979년 처녀시집 《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벌써 31년이 지났습니다. 1990년 성탄절에 친구한테서 선물로 받은 시선집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에서 이 시를 읽고난 이후 김광규 시인의 시집을 모두 사서 읽었습니다.

김광규 시인의 시는 현실의 뒤틀린 모습 속에 살아가는 현대인의 이기주의와 속물근성을 단순화하여 보여줍니다. 그래서 읽는 사람에게 '찔림'을 느끼게 합니다. <나>라는 시에서 시인은 상황에 따라 아들, 아버지, 동생, 형, 남편, 오빠, 조카, 아저씨, 제자, 선생, 납세자, 예비군, 친구, 적, 환자, 손님, 주인이 되는 자신의 모습을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묻습니다. 지금 여기 있는 '나'는 누구냐고 말이지요. 현대 철학은 근대적 주체가 아닌 '관계적 주체'를 이야기합니다. 시인은 자신의 여러 역할 속에서 진정한 '나'는 누구인지 성찰하고 있습니다. <버스를 탄 사람들>이란 시에서는 대학가에서 최루탄 냄새가 나는 젊은이들이 올라타도 아무말 하지 않는 시민의 모습을 보여주면서 평범한 시민이라 할지라도 그저 실없는 구경꾼이나 행인이 아니라고 이야기합니다. 이름은 모르지만 낯익은 그들에게서 동지애를 느끼고 있는 시인의 모습을 발견합니다. 보이는 게 삶의 전부는 아니라는 시인의 통찰을 엿볼 수 있습니다.

김광규 시인은 언제나 현실을 직시하며 주변 인물들에 관심을 기울입니다. 그러면서 잊고 지내는 모습과 현실의 뒤틀린 모습을 이야기를 하듯 표현합니다. <나의 자식에게> 라는 시에서 " 위험한 곳에는 아예 가지 말고/의심받을 짓은 안 하는 것이 좋다고/ 돌아가신 아버지는  늘 말씀하셨다/....(중략).../지진이 일어나는 날은 /집에만 있는 것도 위험하고/아무 짓을 한해도 의심받는다/조용히 사는 죄악을 피해/ 나는 자식들에게 이렇게 말하겠다/평온하게 살지 마라/무슨 짓인가 해라/아무리 부끄러운 흔적이라도/무엇인가 남겨라"라고 말하며 현실을 외면하고 사는 삶이 결코 행복하지 않다는 사실을 말합니다.

현실은 언제나 올바르지 않을 수 있으며, 그른 것을 보고만 있어도 죄악이 됩니다. '내가 아니어도 누군가 세상을 바꾸겠지' 하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과연 바뀐 세상이 왔을 때 살 자격이 있는지 묻고 싶습니다. 어쩌면 많은 사람이 운동경기의 구경꾼으로 세상을 관망하며 살아가고 있는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운동경기에서 반칙이 일어날 때 심판이 올바른 판단을 하지 않는다면 구경꾼들은 소리를 지르고 야유를 보냅니다.

지금 이 순간 우리는 구경꾼입니까? 아닙니까?
공정하지 못한 세상을 향해 소리를 지를 준비가 됐습니까?

김광규

1941년 1월 7일 종로구 통인동에서 태어났다. 서울중고등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및 동대학원 독문과를 졸업했다. 괴테 인스티투트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서독으로 유학가서 뮌헨대학교에서 수학했고 현재 한양대학교 명예교수로 있다. 1975년 《문학과지성》으로 등단했으며 첫 시집《우리를 적시는 마지막 꿈》으로 제1회 녹원문학상을, 1983년 두 번째 시집 《아니다 그렇지 않다》로 김수영문학상을, 다섯 번째 시집 《아니리》로 제4회 편운문학상을, 2003년 여덟 번째 시집 《처음 만나던 때》로 제11회 대산문학상을, 2007년 아홉 번째 시집 《시간의 부드러운 손》으로 제19회 이산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밖에 시집 《크낙산의 마음》《좀팽이처럼》《물길》《가진 것 하나도 없지만》《하루 또 하루》, 시선집으로《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누군가를 위하여》, 산문집으로《육성과 가성》《천천히 올라가는 계단》《육성과 가성》, 번역서로 브레히트의 《살아남은 자의 슬픔》, 하인리히 하이네 시선《로렐라이》등이 있다.

댓글